HTTP 메소드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쉽게 말하면 서버에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 서버가 수행해야 할 동작을 지정하는 요청을 보내는 방법이다.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이번 주에 배운 4가지를 작성해 보려고 한다.
메소드 | 데이터 처리 |
---|---|
GET | READ |
POST | CREATE |
PUT | UPDATE |
DELETE | DELETE |
데이터 조회 GET -> GET Request
데이터 추가 POST -> POST Request
데이터 수정 PUT -> PUT Request
데이터 삭제 DELETE -> DELETE Request
// 1번
let num = 1;
// 2번
setTimeout(() => {
num = 2;
}, 0);
// 3번
num = 3;
// 4번
console.log(num);
예시의 코드를 실행하면 콘솔에는 어떤 값이 출력될까?
1번: num은 1로 초기화된다.
2번: setTimeout(() => { num = 2; }, 0);은 비동기 함수로 0초 뒤에 콜백 함수가 실행되도록 예약되나, 현재 코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
3번: num은 3으로 변경된다.
4번: 현재 num의 값인 3을 콘솔에 출력된다.이때 num은 이미 setTimeout의 비동기 콜백에 의해 2로 변경됐다. 그러나 여기서 console.log(num);은 비동기 콜백이 실행되기 이전에 이미 실행되었으므로 3이 출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