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무엇을 실행하고 싶은지 정의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프로그래밍에 앞서 해결해야할 문제(요구사항)을 명확히 이해한 후 적절한 문제 해결 방안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1995년, 약 90%의 시장 점유율로 웹브라우저 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는 웹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한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브랜던 아이크(Brandon Eich)
모든 브라우저는 자바스크립트를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내장하고 있다. Node.js 또한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내장하고 있다.👉 하지만 브라우저와 Node.js는 용도가 다르다.HTML,CSS,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해 웹페이지를 브라우저 화면에 렌더링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다룬다. 아무리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이라 해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전부다.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계산(평가)하려면 먼저 10
값 : 식(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평가 :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며, 메모리에 2진수, 즉 비트의 나열로 저장된다.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