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https://hobogi.tistory.com/entry/Tibero-Architecture-%ED%8B%B0%EB%B2%A0%EB%A1%9C-%EA%B5%AC%EC%A1%B0
tibero1 7463 1 0 13:18 pts/1 00:00:14 tbsvr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65 7463 0 13:19 pts/1 00:00:00 tbsvr_MGWP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66 7463 0 13:19 pts/1 00:00:00 tbsvr_FGWP000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67 7463 0 13:19 pts/1 00:00:25 tbsvr_FGWP001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68 7463 0 13:19 pts/1 00:00:00 tbsvr_PEWP000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69 7463 0 13:19 pts/1 00:00:00 tbsvr_PEWP001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70 7463 0 13:19 pts/1 00:00:00 tbsvr_PEWP002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71 7463 0 13:19 pts/1 00:00:00 tbsvr_PEWP003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72 7463 0 13:19 pts/1 00:00:19 tbsvr_AGNT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73 7463 0 13:19 pts/1 00:00:22 tbsvr_DBWR -t NORMAL -SVR_SID sixth tibero1 7474 7463 0 13:19 pts/1 00:00:01 tbsvr_RCWP -t NORMAL -SVR_SID sixth
ps -ef|grep tbsvr 로 확인해본 티베로 서버 프로세스.
kill -9 <프로세스 id> 를 했을떄 db가 죽는다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이다.
리스너는 ps -ef|grep tblistener 로 확인가능하다.
참고자료 :
https://blog.naver.com/93hyuna/220638901109
https://dataonair.or.kr/db-tech-reference/d-lounge/technical-data/?mod=document&uid=236107
티베로 인스턴스 내 공유메모리(==SGA)는 TSM(Tibero Shared Memory)라고도 부른다. 인스턴스에 대한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가지고 있다. TSM을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으며, 자주 요청되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하므로 디스크 I/O가 감소하여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크게 네부분으로 나뉜다.
SQL 캐시 (SQL Cache) : SQL 문장이 입력되었을 때 파싱, 문법 체크, 최적화 수행, 실행 계획을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영역
데이터 사전 캐시 (Data Dictionary Cache) : 데이터 사전에 대한 정보가 있는 메모리 영역
데이터베이스 버퍼 (Database Buffer) : 최근에 사용된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 티베로 서버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되어 (client에 의해 데이터 변경 등) free buffer가 dirty buffer가 되면 (그림에서 어두운 부분) DBWR(데이터베이스 쓰기 프로세스)가 이를 찾아 디스크에 기록하고 다시 free buffer로 만든다.
Redo 로그 버퍼 (Redo Log Buffer) : 데이터가 변경되기 전과 후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
실제로 티베로 접속해서 조회해보면 아래와 같이 공유메모리와 버퍼 사이즈를 확인해볼 수 있다.
프로세스와 메모리 관련하여 티베로 서버에서 확인해보는 실습을 추가로 적을 예정이다. 티베로 화이팅!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