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 튜플 | 딕셔너리 |
---|---|---|
[ ] | ( ) *괄호 없어도 가능 | { } |
내부 값 변경 가능 (mutable) | 내부 값 변경 불가 (immutable) | 내부 값 변경 가능 (mutable) |
%s | %d | %f |
---|---|---|
string | int | float |
>>> print('My name is %s' %'Sayho')
'My name is Sayho'
{ }.format( ) 좀더 파이썬스러운 방식
>>> print('My name is {}'.format('Sayho'))
'My name is Sayho'
index
: 문자의 주소(위치)
p | y | t | h | o | n |
---|---|---|---|---|---|
0 | 1 | 2 | 3 | 4 | 5 |
-6 | -5 | -4 | -3 | -2 | -1 |
string.split()
공백 단위로 잘라줌
\n
enter(개행)
\t
tab
list.append()
값 추가, list만 쓸 수 있는 함수
list.sort()
가나다순으로 정렬
list.count()
리스트에 ()원소가 몇개 있는지
len(list)
리스트 안에 몇개의 원소가 있는지 #내장함수: 파이썬이 이미 가지고 있는 함수
메소드는 '.'을 앞에 찍고 씀. ex)list.append()
패킹(packing)
여러개 값을 하나로 묶는 것
언패킹(unpacking)
묶여있는 값을 풀어주는 것
my_tuple = 1, 2, 3
num1, num2, num3 = my_tuple
print(num1)
1
>>>
for i in range(1, 10):
print('{}x{}={}'.format(2, i, 2*i)
for j in range(2, 10):
for i in range(1, 10):
print('{}x{}={}'.format(j, i, j*i)
Loop 반복문
> for, while
while
조건에 따라 얼마나 반복할지를 알 수 있음
while 조건:
명령1
명령2
*for, if와 다른점
명령2까지 거친 후 loop 밖으로 나가지 않고, 다시 조건으로 돌아감.
True면 다시 명령 거치고, False면 밖으로 나감. (False 나올 때까지 무한반복)
for/while에서 모두 사용 가능.
continue
다음 명령으로 넘어가지 않고 조건문으로 다시 돌아감.
break
조건문으로 돌아가지 않고 loop 중단.
count = 0
while count < 10:
count += 1
if count < 4:
continue
print(count)
if count == 8:
break
#####################
4
5
6
7
8
>>>
dict{key: value}
dict[key] = value
del
삭제하기 (del dict[key])
key들만 출력하기
for std in dict.keys():
print(std)
value들만 출력하기
for std in dict.values():
print(std)
key, value 한꺼번에 가져오기
for key, value in dict.items():
print(key, value)
메서드 적용한 것을 그대로 출력하면 리스트 [ ] 형태로 출력
>>> print(dict.values())
dict_values([value1, value2, ...])
내장함수 (파이썬 내장함수)
모듈의 함수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들을 import해서 갖다 씀)
사용자 정의함수
def 함수이름(인자1, ...):
명령
return 결과 #이 부분은 없을수도
def add_mul(num1, num2):
return num1 + num2, num1 * num2
>>> add_mul(1, 2)
(3, 2) #packing해서 하나의 tuple로 돌려줌.
모듈
함수들을 모아둔 것
random.choice()
랜덤으로 1개를 뽑아줌
import random
students = ['harry', 'ron', 'hermione', 'jinny']
print(random.choice(students))
-> hermione
random.sample()
랜덤으로, 중복되지 않는 다수를 뽑아줌
import random
students = ['harry', 'ron', 'hermione', 'jinny']
print(random.sample(students, 2))
-> ['harry', 'jinny']
print(random.randint(range(1, 50), 6))
-> [12, 5, 41, 30, 1, 46] #로또 추첨
random.randint()
범위 안에서 랜덤으로 정수 한개 추첨
import random
print(random.randint(8, 10))
-> 8
아래 강의를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김왼손의 왼손코딩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GPF8gvWLYyrkF85itdBHaOLSVbtdzBw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