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Header의 크기
- IPv4 : 20 ~ 40 byte.
- Ipv6 : 40 byte 고정.
- Version
- IPv4, IPv6인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 Header Length(HLEN)
- 헤더의 길이를 32bit 워드 단위로 표시한다.
- Type of Service
- 서비스 우선 순위를 제공.
- 0 : 보통
- 1 : 비용 최소화
- 2 : 신뢰성 최대화
- 4 : 처리량 최대화
- 8 : 지연 최소화
- 15 : 보안 최대화
- Total Packet Length
- IP 헤더 + 데이터를 포함한 패킷 전체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길이를 표시.
- Fragmentation Identifier
- 분열이 발생한 경우, 조각을 다시 결합하기 위해 원래의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
- Fragmentation Flags
- 분열의 특성을 나타내는 플래그.
- 첫 1bit는 항상 0의 값.
- 두번 째 bit는 DF(Don't Fragment)
- 분할하지 말라는 의미이며, DF의 값이 1일 때 MTU를 넘어가 분할해야하는 상황일 경우 패킷을 버린다.
- 세번 째 bit는 MF(More Fragment)
- MF의 값이 0이라면 분할된 마지막 조각이라는 의미.
- MF의 값이 1이라면 분할된 조각이 더 있다는 의미.
- Fragmentation Offset
- 8byte 단위로 최초 분열 조작으로부터 어떤 곳에 붙여야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 각 조각들이 순서대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값을 통해 재조립할 수 있다.
- TTL(Time to Live)
- IP 패킷 전달에 대한 생존 시간을 의미.
- 최대 25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라우터를 하나 거칠 때마다 1씩 감소.
- TTL 값이 0이 되면 해당 패킷을 버린다.
- Source IP Address / Destination IP Add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