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은 Media Access Control의 약자이며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하드웨어에 할당된 주소를 의미한다.
IP 주소가 네트워크 주소라면 MAC 주소는 하드웨어 주소, 물리적 주소, 이더넷 주소로 불린다.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 서로를 구분할 일종의 주소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역할을 바로 MAC Address가 담당하게 된다.
IP 주소도 통신을 위해서 각 장비마다 IP 주소를 배정하게되고 그 주소를 가지고 통신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로 통신을 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IP 주소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MAC Address를 사용하게된다.
즉, 우리가 통신을 할 때 IP 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절차(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밟고 있는 것이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는 OSI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고, MAC 주소는 OSI 2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소이다.
통신 표준에 맞게 단계별로 진행될 때, IP 주소에서 MAC 주소로 변환되는 과정을 ARP라고 한다.
Windows 환경
MAC Address를 확인하는 방법은 명령프롬프트(CMD)에서 ipconfig/all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게되면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전부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물리적 주소
라고 표시되어있는 부분이 MAC Address이다.
Mac 환경
환경설정 - 네트워크 - 고급 - 하드웨어에서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같은 네트워크상에 있을 경우
A PC는 B PC의 IP 주소를 알고 있다.
A PC는 자기가 속한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PC에게 B라는 PC가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면 MAC 주소를 전송하라는 메세지를 보낸다. (이 과정이 Broadcast.)
A와 B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기 때문에 A가 보낸 Broadcast를 B PC가 받게되며 B는 A에게 MAC 주소를 알려주게 되고 A는 전달받은 MAC 주소를 통해 통신을 하게 된다.
다른 네트워크상에 있을 경우
A가 Broadcast를 보내게된다.
A PC가 있는 A 네트워크에 B라는 PC가 없기 때문에 ARP Request를 받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라우터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B를 찾도록 도와준다.
A PC의 요청이 라우터에게 전달되고 라우터는 B PC를 찾아 요청을 보내며 요청을 받은 B PC는 라우터에게 MAC 주소를 전달하게 된다.
B PC의 MAC 주소를 전달받은 라우터는 A PC에게 해당 라우터의 MAC 주소를 전달하여 A PC와 B PC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즉, A PC는 B PC의 MAC 주소를 모르지만 라우터의 MAC 주소를 알기 때문에 라우터의 MAC 주소를 통해서 각 PC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이픈 ( - )
콜론 ( : )
점 ( . )
48bit의 MAC 주소를 16진수로 표현한 것이다.
앞쪽 6개의 16진수(00-60-97)는 생산자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해당 코드를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라고 한다.
쉽게 말해서 OUI는 제조사 식별코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나머지 뒤에 오는 6자리가 Host Identifier이다.
쉽게 말해서 해당 제조사 제품의 시리얼 넘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MAC 주소 중 앞 절반은 미리 약속된 규정에 따라 각 네트워크 장비를 만드는 회사에 분배해주고
해당 회사에서는 나머지 절반을 일련번호로 만들어 각 장비에 부여하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