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피움 팀에서 비로그인 시 로그인을 수행하라는 페이지와 함께 이미지를 띄우려고 한다.
이 때 코드를 배포하지 않고도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각했다.

현재 이미지를 프론트엔드의 assets에 넣어서 배포를 하게 된다면 이미지가 변경하나에도 배포가 이뤄져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CDN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배포하고 해당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면 재배포하는 번거로움은 줄어들 것이다.

다시말해 https://이미지경로.이미지이름.png라는 경로는 동일하나 해당 서버에 있는 자원을 변경하면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내기 위해 AWS의 S3를 이용해볼 수 있다.

AWS S3란?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고있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Simple Storage Service)다.
쉽게 말해 클라우드 환경에 저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시작하기

사례별로 알아본 안전한 S3 사용 가이드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개인 AWS 계정으로 실습을 진행하는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지금부터 AWS S3를 이용해 정적 웹 호스팅을 수행해보자.

웹 호스팅 준비하기

버킷 생성부터 시작해보자.

버킷 생성

우선 S3 서비스에 들어가서 버킷을 생성한다.

ACL 비활성화됨, 모든 퍼블릭 엑세스 차단 옵션을 선택해준다.

기본 암호화는 Amazon S3 관리형 키(SSE-S3)를 사용한 서버 측 암호화를 선택하고 버킷을 생성한다.

위와같이 버킷이 생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버킷 탭에 들어가서 이미지를 하나 업로드하자.

favicon.png 파일을 업로드했다.

이 상태로 객체 URL에 접근해보면

다음과 같이 Access Denied가 뜬다.
버킷을 생성할 때 Public으로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공개인 버킷에 접근하기

버킷을 Private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원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한다.

사용자가 CloudFront를 우회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해보자.

CloudFront 설정

CloudFront 배포 생성에서 원본 도메인을 위에서 생성한 S3로 선택한다.

이후 원본액세스 제어 설정을 선택하고 제어 설정 생성 탭을 선택한다.

위와같이 제어 설정을 구성한다.

기본 캐시 동작은 Redirect HTTP to HTTPS 를 선택하고 새 배포를 생성한다.
(WAF 설정은 적용하지 않았다)

버킷 정책 업데이트

CloudFront를 생성하면 위처럼 S3 버킷 정책을 업데이트하도록 나온다.
정책 복사 를 투르고 정책을 업데이트하려면 S3 버킷 권한으로 이동합니다. 를 누른다.

버킷 - 퀀합 탭에서 버킷 정책 편집으로 들어간다.

복사한 내용을 버킷 정책에 붙여넣고 변경사항을 저장한다.

접속하기

이제 CloudFront 탭에 다시 들어가서 배포 도메인 이름을 확인한다.

배포도메인/{S3경로파일명}로 호출했을 때 파일이 정상적으로 호출되는지 확인해본다.

대체 도메인 설정하기

해당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을 구입이 선행되어야합니다.
도메인 구입은 피움의 배포과정을 참고해주세요

매번 배포도메인/{S3경로파일명}으로 접속하기에는 도메인의 길이도 너무 길고 복잡하다.

image.pium.life/{S3경로파일명}로 접속하도록 구성해보자.

인증서 발급

우선 인증서를 발급받아야한다.

특정 웹서버에 인증서를 붙이는것이 아니므로 image.pium.life에 대해 SSL 인증서만 발급받아보자.

  • certbot으로 SSL 인증서 발급

certbot에 대한 내용은 피움 팀블로그 - 내 서버에 HTTPS 설정하기를 참고

맥북에서 image.pium.life에 대한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보자.
certbot을 받아준다.

# certbot 설치
brew install certbot

# dns challenge 방식의 인증을 수행한다
sudo certbot certonly --manual --preferred-challenges dns -d image.pium.life

서비스에 대한 동의를 진행한다.

여기서 해당 도메인의 소유자인지 검증하기위해 DNS 서비스에 위 값을 등록해야한다.
(아직 엔터를 누르면 안된다!!!)

위처럼 DNS 관리 툴에서 TXT 레코드 정보를 추가해준다.
이후 해당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배포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Admin Toolbox: https://...에 쓰여있는 링크로 접속한다.

https://toolbox.googleapps.com/apps/dig/#TXT/_acme-challenge.image.pium.life.

도메인이 아직 배포되지 않았다면 Record not found!가 뜬다.

잠시 기다리면 이렇게 도메인 조회가 된다.

배포 확인 후 다시 이 화면으로 넘어와서 엔터를 누르면 된다.

/etc/letsencrypt/live/image.pium.life 경로에 SSL 인증서가 발급되었다.

인증서 발급이 완료되었으므로 DNS 서비스에 등록했던 TXT 레코드는 삭제해도된다.

AWS에 인증서 넣기

이제 이 인증서를 AWS로 가져가보자.

AWS의 Certificate Manager 서비스를 이용한다.

CloudFront의 SSL 인증서 적용 과정에서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리전의 인증서를 요구하기 때문에 리전을 버지니아-북부로 설정해두고 작업을 진행해야한다!

인증서 가져오기를 수행한다.

인증서 세부 정보를 입력하는 칸이 나오는데 각각 해당하는 정보를 적어주면 된다.

sudo cat cert.pem
sudo cat privkey.pem
sudo cat fullchain.pem

-----BEGIN CERTIFICATE-----부터
-----END CERTIFICATE-----까지
다 복사해서 넣어줘야한다.

등록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인증서를 가져올 수 있다.

CloudFront 별칭 설정

DNS 호스팅 사이트에 가서 CNAME 레코드를 추가해준다.
호스트는 image이고 값은 CloudFront의 배포 주소를 넣어준다.

CloudFront 탭으로 와서 편집탭으로 들어간다.

대체 도메인을 작성하고 추가한 SSL 인증서를 선택한 뒤 저장한다.

이제 image.pium.life로 cloudfront로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후기

단순한 내용도 많았지만 중간에 인증서 발급 등과 같은 세세한 부분에서 헤맬 수 있다고 생각하여 최대한 자세하게 기록했다.

Reference

https://medium.com/dream-youngs/lets-encrypt-dns-%EB%A1%9C-%EB%93%B1%EB%A1%9D%ED%95%98%EA%B8%B0-fdc3efda36af

profile
안녕하세요 😆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