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로 빌드 - 배포하기

주노·2020년 11월 12일
25

AWS

목록 보기
2/2
post-thumbnail

서론

💡 이 게시글은 2023.07.13에 일부 수정되었습니다.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자바 버전에 대한 호환성 및 설치 명령어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은 공식문서를 참고하는것을 권장합니다.

jenkins를 이용하여 자동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만약 EC2 생성부터 알고싶다면 이전 글을 참고해보길 바란다.

이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실습환경

  • AWS EC2 (Ubuntu 18.04)

❗ 주의 ❗
이 실습 환경은 다음을 고려해야합니다.
👀 Tomcat을 이용하여 Spring MVC Project를 배포할 것입니다.
👀 Maven을 이용하여 Build 할것이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구성이 Maven의 기본 빌드 환경에 맞게 갖추어져있어야 합니다.
👀 배포할 프로젝트가 github에 올라가있어야합니다.
👀 기본적으로 EC2 인스턴스를 2개올리고 서비스를 운영한다면 프리티어라도 금액이 청구되게 됩니다. (한달에 750hr 무료 -> 2개를 올릴 시 한달에 750 * 2 hr만큼 운영됨)

EC2기본 환경 설정

Build Server로 사용할 EC2를 생성해준다.
보안그룹은 아래를 참고

기존 jenkins의 기본 포트는 8080이지만 포트 변경 방법을 같이 알려주고자 8081로 바꿀것이다.

SSH로 BuildServer로 접속해준다.

기본적인 update와 jdk 설치를 진행한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jdk-17-jre

jdk 설정이 진행되었으면 jenkins의 key를 받아주고 이를 적용시킨다.

curl -fsSL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2023.key | sudo tee \
  /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dev/null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sudo tee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dev/null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jenkins

jenkins를 설치하고나서 실행중임을 확인한다.

systemctl status jenkins

jenkins의 포트를 변경해주기 위해 /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파일을 열어준다.

sudo vi /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Environment="JENKINS_PORT=8081"이라는 부분이 보일 것이다.
해당 포트번호를 8081로 바꿔주고 저장한다.

저장후 demon을 reload한 뒤 jenkins를 재시작한다.

sudo systemctl daemon-reload
sudo systemctl restart jenkins

jenkins 설치

EC2IP:8081로 jenkins로 접속한다.

/var/lib/jenkins/secrets/iniialAdminPassword를 통해 암호를 가져와야한다.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ialAdminPassword

암호를 입력하면 아래 창이 뜨는데 Install suggested plugins로 기본적인 플러그인들을 받는다.

설치가 완료되면 어드민 계정을 설정할 수 있다.

jenkins URL을 변경하는 탭이다.
추후에 변경 가능하니 그냥 넘어가도록 한다.

jenkins의 첫 화면

jenkins 플러그인

좌측의 jenkins 관리 - 플러그인 관리로 들어와준다.

Deploy to container를 체크한다.

빌드 성공 후 container에 war파일을 배치시켜주는 플러그인

Publish Over SSH를 체크한다.

SSH를 통해 빌드 산출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플러그인

체크를 완료했다면 지금 다운로드하고 재시작 후 설치하기

jenkins key 생성

다시 EC2 환경으로 돌아온다.

젠킨스 유저로 변경 후 홈디렉터리로 이동

sudo su jenkins
cd

키 생성

ssh-keygen -t rsa

배포 서버 EC2 설정

배포서버로 사용할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해준다.

Application Server의 보안그룹

해당 인스턴스도 마찬가지로 update, upgrade 이후 jdk 설치까지 진행한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sudo apt install openjdk-8-jdk

tomcat을 이용해 배포를 진행할 것이므로 여기에서 원하는 톰캣 버전을 선택해서 사용하면된다.
실습에서는 8.5.59버전을 사용할것이다.

wget https://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8/v8.5.59/bin/apache-tomcat-8.5.59.tar.gz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

tar xvf apache-tomcat-8.5.59.tar.gz

tomcat을 따로 저장할 경로를 생성해준다.

sudo mkdir -p /opt/tomcat

sudo mv apache-tomcat-8.5.59 /opt/tomcat

sudo ln -s /opt/tomcat/apache-tomcat-8.5.59/ /opt/tomcat/route

tomcat을 구동할 tomcat User를 생성해준다.
이때 암호를 사용하는것을 권장한다.

sudo adduser tomcat

tomcat 디렉터리의 사용자와 그룹을 tomcat으로 바꿔주고, shell파일들에 실행권한을 부여한다.

sudo chown -R tomcat:tomcat /opt/tomcat

sudo sh -c 'chmod +x /opt/tomcat/route/bin/*.sh'

tomcat을 실행시켜준다.

sudo su

cd /opt/tomcat/route/bin

./startup.sh

tomcat 유저의 ssh key를 생성한다.

sudo su tomcat

cd

ssh-keygen -t rsa

tomcat 유저의 ssh 디렉토리에 authorized_keys 파일을 생성해준다.

touch authorized_keys

SSH key 교환

jenkins가 설치되어있는 BuildServer로 돌아온다.

jenkins 유저로 접속하여 public ssh key를 확인한다.

sudo su jenkins

cd 

cat .ssh/id_rsa.pub

위 public 키를 복사해서 Application Server의 tomcat 유저의 .ssh 디렉터리에 새로 생성한 authorize_keys 파일에 넣어준다.

vi .ssh/authorized_keys

jenkins 시스템설정

다시 jenkins로 돌아와서 시스템 설정을 해준다.

가장 아래로 내려보면 Publish over SSH 설정이 있을것이다.
Path to key 부분에는 jenkins의 private ssh key 경로를 적어준다.
그리고 그 아래 SSH Servers 탭에서는 Application Server의 주소와 유저네임 그리고 Remote Directory 경로를 적어준다.

이때 Remote Directory는 tomcat의 기본 경로를 뜻하고 /opt/tomcat/route를 적어주면 된다.

오른쪽 아래에있는 Test Configuration을 눌러서 SSH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는지 확인해본다. 정상적으로 이뤄진다면 Success가 뜰 것이다.

jenkins Global Tool 설정

Global Tool Configuartion에 들어가준다.

JDK 경로를 설정해준다.
과정을 그대로 따라왔다면 java의 기본 경로는 /usr/lib/jvm/java-8-openjdk-amd64 일 것이다.

maven을 통해 Build를 진행할 것이므로 maven을 추가해주고 install automatically 설정을 켜고 저장하고 넘어간다.

jenkins 프로젝트 생성

새 프로젝트를 생성해준다.

Freestyle project로 생성해준다.

GitHub project를 눌러주고 자신이 배포할 프로젝트 주소를 적어준다.

소스코드 관리에서 Git을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주소를 적어준다.
이후 Credentials를 추가해야한다.

자신의 GitHub 계정에 대한 설정을 적어준다.

Username : GitHub Username을 적어준다.

Password : GitHub Password를 적어준다.
ID : 별칭을 적어준다.

추가한 계정을 사용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빌드환경에서 Send files or execute commands over SSH after the build runs 옵션을 체크해준다.
다음 설정은 Maven의 기본 빌드경로를 따른다.

Source files : target/ROOT.war
Remove prefix : target
Remote directory : webapp

Build탭에서 Add build step - Invoke top-level Maven targets 를 추가해준다.
Goals에는 clean package war:war를 넣어준다.


드디어 설정이 끝났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빌드, 배포가 이뤄진다.

배포 후에 Application Server IP:8080으로 접속해보자!

결론

사실 본격적인 프로젝트 배포라면 더 상세한 설정들이 필요하다.

properties파일을 build파일에 따로 둔 다음 build할 때 해당 설정파일을 끼워 넣어서 빌드하는 설정이라던가...
cron으로 스케줄링을 해서 특정 시간마다 빌드-배포하게 한다던가...

그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두고자한다.
기본 설정에 대한 시간은 아껴드렸으니 나머지 부분은 화이팅..!

추후 다시 설정할 때 내가 필요한 내용이기도 해서 따로 시간내서 정리해본것도 있지만.. 이 글을 따라오면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도 한다.

Reference

https://www.jenkins.io/doc/book/installing/linux/

profile
안녕하세요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