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seract로 자연어 처리하기 - ch03(실습)

한준수·2023년 6월 13일
0

Spring

목록 보기
3/8

📖 DTO

실습에 들어가기 전 꼭 알아야 할 개념인 DTO를 알아보자

Data Transfer Object 의 약자로 " 데이터 전달 객체 "로 해석될 수 있다.

📌 DTO 사용이유

  • 많은 변수들을 객체에 정의하여 한번에 전달할 수 있다.
    • 전달할 변수가 증가되어도 함수명이 변경되지 않음
  • 전달하는 데이터의 명확화
    • 객체 내 변수명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에 어떤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이해하기 쉽다
  • Spring Frameworks 및 자바 기반 시스템에 사용한다.

⌨ DTO를 직접 만들어 보자

import 직접 입력하지말고, 구글에 인텔리제이 임포트 자동 검색해서 세팅하자..

📌 @Getter, @Setter 어노테이션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Getter와 Setter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 Service

Spring Boot Frameworks는 중요 핵심 로직을 작성하는 영역을 Service로 정의한다

  • Spring Boot Frameworks는 실행될 때, @Service 정의된 자바 클래스들을 메모리에 올리며, 메모리 관리를 Spring Boot Frameworks가 수행한다.
  • 따라서 Service는 메모리 관리를 개발자가 하지 않음

    ✍ 참고 사항
    메모리는 싱글톤 패턴으로 올라간다.
    싱글톤 패턴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객체/인스턴스가 하나만 생성되게 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Service 클래스에 상속시킬 인터페이스를 작성하고


Service 클래스를 작성한다

Slf4j

Spring Boot Frameworks에서 제공하는 log를 남길 수 있다.


📖 실행 함수

CommandLineRunner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고 run 함수에 실행 코드를 작성하면 되는데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 않으면, Service 영역에 정의된 객체를 사용할 수 없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