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분석,데이터 엔지니어링,코딩테스트..python을 사용해서 무언가를 해보려 python문법을 아주 열심히 외우고 또 적용하고, 쓰고, 했다.분명 문법은 익숙해졌는데 무언가 마음에 걸리는 느낌이었다.도대체 이게 왜 이렇게 될까? 라는 의문이 조금씩 생기기 시작한 것

Scope rule의 핵심은어떤 객체를 참조할때 가까운 스택(namespace)를 참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것 같다.꼭 python뿐만 아니라 JavaScript, C모두 비슷한 스코프룰을 가지고 있다.규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특정 문법이 없는 상태에서더 큰 범

변수 참조와 할당 python언어의 메모리 구조를 볼 수 있는 예시이다. 변수를 참조할 시에는 스택에 저장된 주소를 참조한다.직접 힙을 참조하지 않는다. 값을 할당할 시에는 스택을 초기화한다. > - 값 할당 > - a에 10이라는 값을 할당하여 전역스택에 저

closure에 대한 문법을 공부하면서 이해를 위해 python tutor에 해당 코드를 입력하고 메모리 구조를 살펴봤는데 한가지 궁금한점이 생겼다.원래 함수는 호출을 하게되면 해당 함수를 위한 namespace가 생기고(Local Scope) 호출이 종료되면 해당 n

파이썬의 모든 변수를 객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옳은것 같다.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모든 객체는 속성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dir함수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다.가장 간단한 자료형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int 자료형도 많은 속성들을 포함하고 있다.엄밀하게 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