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 1021 (Python) - 회전하는 큐

박준영·2021년 7월 27일
0
post-thumbnail

회전하는 큐


문제

지민이는 N개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양방향 순환 큐를 가지고 있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몇 개의 원소를 뽑아내려고 한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1. 첫 번째 원소를 뽑아낸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원래 큐의 원소가 a1, ..., ak이었던 것이 a2, ..., ak와 같이 된다.
  2. 왼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2, ..., ak, a1이 된다.
  3.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k, a1, ..., ak-1이 된다.

큐에 처음에 포함되어 있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원소의 위치가 주어진다. (이 위치는 가장 처음 큐에서의 위치이다.) 이때, 그 원소를 주어진 순서대로 뽑아내는데 드는 2번, 3번 연산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큐의 크기 N과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개수 M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M은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위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위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


코드

풀이 과정

양방향 순환 큐를 만들어서 최소한으로 순환하여 값을 뽑아 낸다.
왼쪽, 오른쪽을 비교하여 더 가까운 쪽으로 순환해야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 큐의 길이에서 인덱스 값을 빼주어 더 가까운 쪽을 찾으면 된다. )
뽑은 수는 큐에서 없애야 한다.
append 함수를 사용하여 추가하고, del 함수를 사용하여 추가한 요소는 지워준다.
뽑고 남은 수들을 또 순환하여 다음에 뽑을 수를 구한다.

  • 풀이


n, m = map(int,input().split()) 
targets = list(map(int,input().split())) 
queue = [ i for i in range(1, n+1)] 
result = 0

for i in range(m):
    queue_len = len(queue) 
    index = queue.index(targets[i]) # targets의 위치값 구하기

    if index < queue_len - index : # 구하고자 하는 위치가 앞쪽에 있는 경우 앞으로 이동이 유리하다
        while True : 
            if queue[0] == targets[i] :
                del queue[0]
                break
            else :
                queue.append(queue[0]) # 첫번째 요소를 맨 뒤에 추가하고, 첫번째 요소는 지워 이동한다.
                del queue[0]
                result += 1 # 이동횟수 + 1
    else : 
        while True : # 구하고자 하는 위치가 뒤쪽에 있는 경우 뒤로 이동이 유리하다
            if queue[0] == targets[i] :
                del queue[0]
                break
            else :
                queue.insert(0,queue[-1]) # 마지막 요소를 첫번째로 넣어주고 마지막 요소는 지운다.
                del queue[-1]
                result += 1 # 이동횟수 + 1
print(resul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