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 채굴과 노드

요니·2022년 11월 21일
0

채굴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트랜잭션을 검증하여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얻는것
비트코인의 경우 블록이 생성될 때 마다 다음 블록의 해시퍼즐 문제가 주어짐, 가장 먼저 푸는 작업자가 블록생성 권한 가짐

채굴하는건 겁나 어려움. 그럼 왜 채굴을 하느냐?

채굴자가 하는 일

  • 네트워크 동기화: 새 노드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합류하면, 다른 노드에게 과거의 블록들을 요청해 블록체인을 다운로드함
  • 트랜잭션 검증: 새로운 트랜잭션을 수신한 노드는 반드시 해당 트랜잭션이 올바른 트랜잭션인지 검증함
  • 블록 유효성 검사: 채굴자와 풀 노드는 특정 규칙에 따라 수신한 블록을 평가하여 유효성 검사를 시작
  • 새로운 블록 생성: 채굴자는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팅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사
  • 작업증명 (PoW)수행: 채굴과정의 핵심으로 채굴자가 해시 퍼즐을 풀어 유효한 블록을 찾음. 논스값을 바꿔가며 해시값이 미리 결정된 목표값보다 작을때까지 반복계산
  • 보상 수령: 해시퍼즐의 해를 구한 노드를 브로드캐스팅하고 검증해서 승인. 승인되면 채굴자는 비트코인과 관련ㄴ된 트랜잭션 수수료 보상받음

다양한 채굴 방법

PoW 작업증명

=> Proof of Work. 유효한 블록을 만드는 데 충분한 계산 자원을 소모했다는 중명

  •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비트코인 캐시 등
  • 장점: 보안성
  • 단점: 채굴 풀의 중앙집중화

PoS 지분증명

=> Proof of Stake. 해당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주는 합의 알고리즘

  • 에이다, 큐텀, 피어코인 등
  • 장점: 환경친화적 시스템, 인센티브에 대한 지지, 채굴 풀의 중앙집중화 해결
  • 단점: 불안전한 해결책, 불공평한 경제모델

DPoS 위임지분증명

=> Delegated Proof of Stake. 소유자들의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해 투표권을 행사해서 대표자를 선정, 대표자끼리 합의해서 의사결정

  • 이오스, 스팀, 테조스 등
  • 장점: 소규모 참여자도 이득, 송금 속도가 빠름
  • 단점: 네트워크 보안 취약, 대표자의 수에 따른 속도 저하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채굴 - Klatyn

  • 컨센서스 노드 (CN), 프록시 노드 (PN), 엔드포인트 노드 (EN)
  • CCO (Core Cell Operators)에 의해 관리되며 블록 생성을 담당

블록체인 블록 구조

정리

채굴이란?

채굴(Mining)이란, 블록체인 참여자로서 검증에 참여해 암호화폐를 얻는 것을 뜻하며 땅을 파서 광물 따위를 캐내는 행위에서 유래한 용어

채굴 풀이란?

채굴하는 채굴자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채굴자 조합

채굴의 문제점

각각의 증명방식의 장단점

이더리움에서 블록싱크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EOS가 이더리움보다 빠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블록체인의 노드는 무슨 자료구조로 되어있나요?

블룸필터란?

동기, 비동기, 블록, 논블록

P2P 네트워크에서 피어 검색은 어떻게 동작하나요?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란?

블록은 어떻게 식별하나요?

블록의 헤더, 바디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나요?

트랜잭션 관련된 트리는 무슨 트리인가요?

블록 해시란?

이더리움 논스란?

일반적인 논스값이란 무엇인가요?

profile
개발자가 될래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