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트릴레마

요니·2022년 11월 11일
0

블록체인 트릴레마

확장성 (scalability), 보안성 (security), 탈중앙성 (decentralization)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한번에 해결할 수 없음

  • 확장성: 사용자 수가 늘어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도
  • 보안성: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권한이 없는 이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해서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
  • 탈중앙성: 중앙집권화를 벗어나 자율적으로 운영됨

확장성 중심 네트워크

  • 장점: 네트워크가 많은 양의 트랜잭션을 지원, 보안이 주요 초점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
  • 단점: 탈중앙성 희생

보안성 중심 네트워크

  • 장점: 많은 노드 수와 네트워크 해시파워, 트랜잭션에 대한 수수료가 낮은 가격으로 안정적으로 책정
  • 단점: 노드 수가 많아야 하고, 해시파워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노드 운영 비용이 증가, PoW 방식을 채택시 채굴로 인한 컴퓨터 연산 자원 소모가 큼

탈중앙화 네트워크

  • 장점: 사용자가 단일 엔티티를 신뢰하지 않고도 합의 유지, 누구나 네트워크 참여 가능, 중앙화된 노드가 네트워크 데이터 검열x
  • 단점: 노드 수가 많아질수록 시간이 길어짐, 확장성 문제로 이어짐, 비용이 많이 듦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

레이어 1 솔루션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의미

  • 합의 알고리즘 개선
  • 샤딩

레이어 2 솔루션

레이어 1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 확장성과 효율성을 향상하는 기술

  • 롤업
  • 중첩 블록체인
  • 상태 채널
  • 사이드 체인
profile
개발자가 될래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