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자 오버로딩을 생각하면 된다.
주생성자는 하나이며, 나머지 생성자를 주생성자를 호출하는 부생성자이다.
public Car(String name, int position) { //주생성자
this.name = new Name(name);
this.position = position;
}
public Car(String name) { //부생성자
this(name,INITIAL_POSITION_VALUE);
}
일급 컬렉션이란?
Collection을 Wrapping하면서 그 외의 다른 멤버 변수가 없는 상태
쓰는 이유는?
인스턴스의 집합을 Collection로 설정하게 되어, 단수형 클래스가 가질 수 없는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메인 설계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게 되면 모방하게 되고 내가 생각을 멈추게 될까봐 안보는 습관이 있었는데, 코치님이 이런 부분은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해주셔서 오픈 소스나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면서 참고하기!
자동차마다 이동 로직을 다르게 하려면? 생각해보기
이 말은 즉, '불변을 지향하자'와 같다.
로직 내에서 상수임을 명시하여 가독성이 증가할 수 있고, 매소드 내에서 재할당을 막아 수정이 불가능하게 만들수도 있다. 명심명심
멀티 스레드 환경일 때 문제가 된다.
타입 변경 시, 모든 변수 명을 수정해야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