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1)

지훈·2024년 3월 29일
0

AWS

목록 보기
1/12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CLF-C02 준비를 시작했어요!
Mlops 공부를 시작하기전에 클라우드 컴퓨팅 공부겸 자격증을 따기로 했습니다. 충동적으로 일주일뒤 시험으로 결제를 해버렸어요...(집 밖에 좀 나가려고 오프라인으로 신청,,.)

머신러닝 엔지니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따보라 하는데.. 이번걸 수월히 따고 시간이 좀 남는다면 나머지 자격증도 따봐야겠네요!

💡 What is Cloud Computing?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직면한 전통적인 IT 인프라의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의 임대료부터 시작해서 전력 공급, 냉각,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은 꽤나 부담이 됩니다. 하드웨어를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일은 시간도 오래 걸리고 번거롭기도 합니다. 그리고 말할 것도 없이, 규모를 확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갑자기 트래픽이 몰리거나 비즈니스가 급성장할 때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24/7로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팀을 고용하는 것도 비용과 노력이 드는 일입니다. 게다가 지진이나 정전,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지도 큰 고민입니다. 이 모든 문제를, 우리가 흔히 '클라우드'라고 부르는 기술이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 모든 하드웨어 관리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담당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기업은 인프라에 대한 걱정 없이, 자신들의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는 유연한 확장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량에 따라 리소스를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재난 발생 시에도 클라우드 제공업체들은 여러 지역에 데이터를 분산시켜 두기 때문에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 문제가 생겨도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클라우드가 대세인 이유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이 모든 전통적 IT의 문제점들을 외부화해서, 우리는 비즈니스를 더 스마트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정말 멋지지 않습니까? ☁️🚀

"On demand" 라는 말은, 우리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는 마법과도 같은 표현입니다. 이것은 원하는 것을 원하는 순간에 바로 얻을 수 있다는 뜻으로, 클릭 몇 번으로 가능합니다! ✨

Gmail은 온 디맨드 방식으로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저장된 이메일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고, 별도의 인프라는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Dropbox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필요할 때 언제든 접근해서 파일을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넷플릭스는 온 디맨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로, 원하는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언제든지 감상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모든 서비스들이 제공하는 편리함과 유연성은 '온 디맨드'라는 개념 덕분입니다! 🎥📬☁️

📖 Different types of Cloud Computing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정의: IaaS는 가상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입니다. 사용자는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인프라를 임대하여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 사용자는 기본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합니다.
  • 높은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는 운영 체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자유롭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 Amazon Web Services (AWS)의 EC2, Google Cloud Platform의 Compute Engine, Microsoft Azure의 Virtual Machines.

☑️ PaaS (Platform as a Service)

정의: PaaS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실행,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과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입니다. IaaS 위에 구축되어, 개발에 필요한 여러 서비스와 툴을 포함합니다.

주요 특징:

  • 개발, 테스팅, 배포, 관리, 업데이트 등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된 모든 과정을 지원합니다.
  •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집중할 수 있으며, 인프라 관리는 PaaS 제공업체가 담당합니다.
  •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개발 환경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예시: Google App Engine, Microsoft Azure App Services, Heroku.

☑️ SaaS (Software as a Service)

정의: SaaS는 인터넷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로,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직접 구매하고 설치할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 소프트웨어의 설치, 유지보수, 업데이트 등은 SaaS 제공업체가 담당합니다.
  • 사용자는 구독 모델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며,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이메일, 협업 도구, CRM 등)을 포함합니다.

예시: Google Workspace, Salesforce, Microsoft Office 365.

📘 AWS Region 선택 가이드

"어디에 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해야 할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그건 상황에 따라 다르다"입니다. 하지만, 선택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1. 규정 준수(Compliance): 데이터는 어디에 있어야 하나요?

일부 국가에서는 데이터를 해당 국가 내에 저장하도록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는 데이터가 프랑스 내에 있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프랑스 리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해야 합니다.

2. 지연 시간(Latency): 사용자는 어디에 있나요?

대부분의 사용자가 미국에 있다면, 미국 내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지연 시간이 줄어듭니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을 호주에 배포하고 사용자가 미국에 있다면, 사용자 경험에 상당한 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서비스의 가용성: 모든 지역이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나요?

모든 AWS 리전이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전에 배포해야 합니다.

4. 가격: 비용은 어떻게 다른가요?

지역별로 가격이 다릅니다. 배포 전에 각 서비스의 가격을 확인하여 예산에 맞는 리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용성 영역과 글로벌 인프라

가용성 영역: 각 AWS region은 여러 가용성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데이터 센터가 재난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시드니 리전에는 ap-southeast-2a, ap-southeast-2b, ap-southeast-2c 등의 가용성 영역이 있습니다.

엣지 위치: AWS는 전 세계 40개국의 90개 도시에 400개 이상의 엣지 위치를 운영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능한 가장 낮은 지연 시간으로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AWS 콘솔 탐색하기

AWS에는 IAM, Route 53, CloudFront, WAF와 같은 글로벌 서비스와 Amazon EC2, Elastic Beanstalk, Lambda, Rekognition과 같이 리전별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서비스의 리전별 가용성을 확인하려면 AWS 리전 테이블을 참조하십시오.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결정에 이 가이드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AWS 리전을 선택할 때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최적의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달성하세요.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