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받기
A = input()
print(A)
input()
함수는 기본적으로 숫자, 문자 상관없이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모두 'str'(문자열)
로 반환한다.
# input()
A = input()
print(type(A))
type()
함수를 통해 변수 A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class 'str'> 은 변수 A는 문자열이란 뜻.
A = int(input())
print(A)
print(type(A))
입력받은 데이터를 문자형에서 정수형으로 형변환해 출력해주기 위해 정수형int()
함수 사용. 정수형으로 바뀐 문장이므로 문자를 쓰면 에러뜸.
# # input().split()
A, B = input().split()
print(A, B)
print(type(A), type(B))
데이터를 입력받는 input()
함수, 공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리하는 split()
함수 사용. 근데 input()
함수의 데이터 타입은 모두 문자형이다. 자연수로 출력하려면
# map(int, input().spli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B)
print(type(A), type(B))
이런식으로 map()
함수의 첫번째 전달인자int
를 원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변경하면 입력받는 데이터 타입도 변경할 수 있다.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int(A/B))
print(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