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usiness Intelligence)는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통해 더 나은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비즈니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한다.
Docker 설치
Docker는 특정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필요한 기타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만듬으로써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용을 도와주는 오픈소스 플랫폼
![](https://velog.velcdn.com/images/jw57482/post/491abd17-0dfa-4379-acf0-1632fa1ad4ef/image.png)
출처: 프로그래머스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브코스의 강의 자료 중 이미지
Docker Superset
- 터미널 실행
- 적당한 폴더로 이동
- 터미널에서
- 아래의 Superset Githup repo를 클론
- git clone https://github.com/apache/superset.git
- Superset 폴더로 이동
- cd superset
- 다음 두개의 명령을 실행
-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non-dev.yml pull
-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non-dev.yml up
- http://localhost:8088으로 웹 UI로그인
- 초기 ID/PW 는 admin/admin 이다.
💡 만약 로그인이 안된다면 브라우저의 Http 차단이 되어있나 확인 해 보자. 이거 차단이 되어 있는지 모르고 여러번 전체 삭제와 설치를 반복하는 낭비를 했었다 …
차트 만들기
대시보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시보드에 들어갈 차트들이 필요하다.
💡 차트의 데이터들은 프로그래머스에서 진행하는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브코스 2기 수강중에 제공 받은 Redshift를 활용해서 차트와 대시보드를 구축했다.
- 데이터 베이스 연결하기
- Settings에서 Database Connections에서 PostgreSQL을 선택해서 Redshift를 연결한다.
- MAU(Monthly Active User)
- user_session_summary 테이블을 Dataset으로 추가
- MAU 차트 생성
- 차트 옵션 선택
- x 축, Metrics, Dimensions를 선택하고 생성하기
- Cohort 차트 생성
- cohort_summary 테이블을 Dataset으로 추가
- 저장을 누르고 Save as..에서 Add to Dashboard 영역에 KPI Dashboard라고 작성한뒤
- SAVE& GO to new dashboard를 누르고 바로 대시보드 생성
- MAU도 대시보드에 추가
- 최종적으로 구축한 대시보드
![](https://velog.velcdn.com/images/jw57482/post/a7dde762-e33b-4ee8-9a33-410633fe7f86/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