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벡터(Vectors)

장원준·2022년 10월 30일
0

선형대수학

목록 보기
1/9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Tech 4기 선형대수학 스터디 1회차

선형대수학 이상구 저 Chapter1


1. 벡터(Vectors)

  •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가지는 것
  • 3차원 공간의 벡터 이해 \rightarrow nn차원 공간으로 확장
  • 내적과 직선 및 평면의 방정식 이해

1.1 공학과 수학에서의 벡터: nn-공간

  • 스칼라(scalar): 크기만으로 완전히 표현
  • 벡터(vector): 크기와 방향이 있어야 완전히 표현
    • 시작점 AA로부터 끝점 BB까지 벡터 x=AB\mathrm{x} = \overrightarrow{AB}
    • 시작점과 끝점이 같으면 크기가 0인 영벡터
    •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완전히 반대인 벡터는 음벡터 x-\mathrm{x}

정의 [벡터의 덧셈과 스칼라배]

  • 두 벡터의 합 x+y\mathrm{x} + \mathrm{y}x, y\mathrm{x},\ \mathrm{y}에 의해 결정되는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으로 표시되는 벡터
  • kxk\mathrm{x}는 길이에 k|k|배 하여 결정되는 벡터, k>0k > 0이면 같은 방향, k<0k < 0이면 반대 방향, 0이면 영벡터
  • 벡터는 크기와 방향이 같으면, 시작점 및 끝점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벡터
  • 따라서 벡터의 원점을 시작점으로 고정하였을 때, 점의 좌표를 나타낼 수 있음
    • 이에 따라 영벡터는 원점을 나타내는 것

정의

  • 평면 벡터(vector in plane)는 두 실수의 순서조로 나타낼 수 있음
  • x=(x1, x2)=x1x2\mathrm{x} = (x_1,\ x_2) =\begin{vmatrix} x_1\\ x_2\end{vmatrix}
  • 두 실수 x1, x2x_1,\ x_2는 평면 벡터 x\mathrm{x}성분(component)
  • 동일한 두 성분 값을 가지는 서로 다른 두 벡터는 상등 x=y\mathrm{x} = \mathrm{y}
  • 만약 시작점이 원점이 아닌 평면 벡터를 다루는 경우
    • P(x1, x2)P(x_1,\ x_2)가 시작점, Q(y1, y2)Q(y_1,\ y_2)가 끝점이면
    • PQ=OQ=(y1x1, y2x2)\overrightarrow{PQ} = \overrightarrow{OQ'} = (y_1 - x_1,\ y_2 - x_2)

정의

  • x=x1x2\mathrm{x} = \begin{vmatrix} x_1\\ x_2\end{vmatrix}y=y1y2\mathrm{y} = \begin{vmatrix} y_1\\ y_2\end{vmatrix}kk에 대해 아래와 같음
    • x+y=x1+y1x2+y2\mathrm{x} + \mathrm{y} = \begin{vmatrix} x_1 + y_1\\ x_2 +y_2\end{vmatrix}, kx=kx1kx2k\mathrm{x} = \begin{vmatrix} kx_1\\ kx_2\end{vmatrix}
    • 성분은 같은 성분끼리 연산, 실수는 성분 각각에 그대로 실수 연산
  • 이제 3차원 벡터로 확장이 가능

정의

  • 공간 벡터(vector in space)는 세 실수의 순서조로 나타낼 수 있음
  • x=(x1, x2, x3)=x1x2x33×1\mathrm{x} = (x_1,\ x_2,\ x_3)= \begin{vmatrix} x_1\\ x_2\\ x_3\end{vmatrix}_{3 \times 1}
  • 세 실수 x1, x2, x3x_1,\ x_2,\ x_3는 공간 벡터 x\mathrm{x}성분(component)
  • 동일한 세 성분 값을 가지는 서로 다른 두 벡터는 상등 x=y\mathrm{x} = \mathrm{y}
  • 만약 시작점이 원점이 아닌 공간 벡터를 다루는 경우
    • P(x1, x2, x3)P(x_1,\ x_2,\ x_3)가 시작점, Q(y1, y2, y3)Q(y_1,\ y_2,\ y_3)가 끝점이면
    • PQ=OQ=(y1x1, y2x2, y3x3)\overrightarrow{PQ} = \overrightarrow{OQ'} = (y_1 - x_1,\ y_2 - x_2,\ y_3 - x_3)

정의

  • x=x1x2x3\mathrm{x} = \begin{vmatrix} x_1\\ x_2\\ x_3\end{vmatrix}y=y1y2y3\mathrm{y} = \begin{vmatrix} y_1\\ y_2\\ y_3\end{vmatrix}kk에 대해 아래와 같음
    • x+y=x1+y1x2+y2x3+y3\mathrm{x} + \mathrm{y} = \begin{vmatrix} x_1 + y_1\\ x_2 +y_2\\ x_3 + y_3\end{vmatrix}, kx=kx1kx2kx3k\mathrm{x} = \begin{vmatrix} kx_1\\ kx_2\\ kx_3\end{vmatrix}
    • 성분은 같은 성분끼리 연산, 실수는 성분 각각에 그대로 실수 연산
  • 이제 nn차원 벡터로 확장이 가능
  • 모든 nn차원 전체의 집합은 nn-공간(nn차원 공간) Rn\mathbb{R}^n
    • 5차원이면, R5\mathbb{R}^5

정의

  • nn차원 벡터(nn-dimensional vector)nn개 실수의 순서조로 나타낼 수 있음
  • x=(x1, x2, ..., xn)=x1x2xnn×1\mathrm{x} = (x_1,\ x_2,\ ...,\ x_n) = \begin{vmatrix} x_1\\ x_2\\ \vdots\\x_n\end{vmatrix}_{n \times 1}
  • 세 실수 x1, x2, x3x_1,\ x_2,\ x_3는 공간 벡터 x\mathrm{x}성분(component)
  • 동일한 nn개 성분 값을 가지는 서로 다른 두 벡터는 상등 x=y\mathrm{x} = \mathrm{y}

정의

  • x=x1x2xn\mathrm{x} = \begin{vmatrix} x_1\\ x_2\\ \vdots\\x_n\end{vmatrix}y=y1y2yn\mathrm{y} = \begin{vmatrix} y_1\\ y_2\\ \vdots\\y_n\end{vmatrix}kk에 대해 아래와 같음
    • x+y=x1+y1x2+y2x3+y3xn+yn\mathrm{x} + \mathrm{y} = \begin{vmatrix} x_1 + y_1\\ x_2 +y_2\\ x_3 + y_3\\\vdots\\x_n + y_n\end{vmatrix}, kx=kx1kx2kxnk\mathrm{x} = \begin{vmatrix} kx_1\\ kx_2\\ \vdots\\kx_n\end{vmatrix}
    • 성분은 같은 성분끼리 연산, 실수는 성분 각각에 그대로 실수 연산
  • 벡터를 정의했으니, 벡터의 결합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

정의

  • v1, v2, ..., vk\mathrm{v}_1,\ \mathrm{v}_2,\ ...,\ \mathrm{v}_kRn\mathbb{R}^n의 벡터, c1, c2, ..., ckc_1,\ c_2,\ ...,\ c_k는 실수
  • x=c1v1+c2v2++ckvk\mathrm{x} = c_1\mathrm{v}_1 + c_2\mathrm{v}_2 + \dots + c_k\mathrm{v}_kv1, v2, ..., vk\mathrm{v}_1,\ \mathrm{v}_2,\ ...,\ \mathrm{v}_k일차결합(linear combination)이라 함
  • 벡터의 성질에 대한 정리
    (1) x+y=y+x\mathrm{x} + \mathrm{y} = \mathrm{y} + \mathrm{x}
    (2) (x+y)+z=x+(y+z)(\mathrm{x} + \mathrm{y}) + z = \mathrm{x} + (\mathrm{y} + \mathrm{z})
    (3) x+0=x=0+x\mathrm{x} + 0 = \mathrm{x} = 0 + \mathrm{x}
    (4) x+(x)=0=(x)+x\mathrm{x} + (-\mathrm{x}) = 0 = (-\mathrm{x}) + \mathrm{x}
    (5) k(x+y)=kx+kyk(\mathrm{x} + \mathrm{y}) = k\mathrm{x} + k\mathrm{y}
    (6) (h+k)x=hx+kx(h + k)\mathrm{x} = h\mathrm{x} + k\mathrm{x}
    (7) (hk)x=h(kx)(hk)\mathrm{x} = h(k\mathrm{x})
    (8) 1x=x1\mathrm{x} = \mathrm{x}
    (9) 0x=00\mathrm{x} = 0
    (10) k0=0k\mathrm{0} = \mathrm{0}
    (11) (1)x=x(-1)\mathrm{x} = -\mathrm{x}

1.2 내적과 직교

정의

  • Rn\mathbb{R}^n의 벡터 x=(x1, x2, ..., xn)\mathrm{x} = (x_1,\ x_2,\ ...,\ x_n)에 대해
    x=x12+x22++xn2||\mathrm{x}|| = \sqrt{x_1^2 + x_2^2 + \dots + x_n^2}
    x\mathrm{x}노름(norm, length, magnitude)이라 함
  • 이는 원점으로부터 P(x1, x2, ..., xn)P(x_1,\ x_2,\ ...,\ x_n)에 이르는 거리로 정의
  • xy||\mathrm{x} - \mathrm{y}||x, y\mathrm{x},\ \mathrm{y}가 표현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

정의

  • Rn\mathbb{R}^n의 벡터 x=(x1, x2, ..., xn), y=(y1, y2, ..., yn)\mathrm{x} = (x_1,\ x_2,\ ...,\ x_n),\ \mathrm{y} = (y_1,\ y_2,\ ...,\ y_n)에 대해
    x1y1+x2y2++xnynx_1y_1 + x_2y_2 + \dots + x_ny_n
    x, y\mathrm{x},\ \mathrm{y}내적(Eucilidean inner product, dot product)이라 함
  • 내적은 xy\mathrm{x}\cdot \mathrm{y}으로 나타냄
  • xy=x1y1+x2y2++xnyn\mathrm{x}\cdot \mathrm{y} = x_1y_1 + x_2y_2 + \dots + x_ny_n
  • xx=x2\mathrm{x}\cdot \mathrm{x} = ||\mathrm{x}||^2
  • Rn\mathbb{R}^n 벡터 x, y, z\mathrm{x},\ \mathrm{y},\ \mathrm{z}와 스칼라 kk에 대한 정리
    (1) xx0,  xx=0x=0\mathrm{x}\cdot \mathrm{x} \ge 0,\ \ \mathrm{x}\cdot \mathrm{x} = 0 \Leftrightarrow \mathrm{x} = 0
    (2) xy=yx\mathrm{x}\cdot \mathrm{y} = \mathrm{y} \cdot \mathrm{x}
    (3) (x+y)z=xz+yz(\mathrm{x} + \mathrm{y}) \cdot \mathrm{z} = \mathrm{x} \cdot \mathrm{z} + \mathrm{y} \cdot \mathrm{z}
    (4) (kx)y=x(ky)=k(xy)(k\mathrm{x}) \cdot \mathrm{y} = \mathrm{x} \cdot (k\mathrm{y}) = k(\mathrm{x} \cdot \mathrm{y})
    (5)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 xyx y|\mathrm{x}\cdot \mathrm{y}| \le ||\mathrm{x}||\ ||\mathrm{y}|| (등호는 x, y\mathrm{x},\ \mathrm{y} 중 하나가 다른 것의 실수배일 때만)

정의

  • xy=x ycosθ, 0θπ\mathrm{x}\cdot \mathrm{y} = ||\mathrm{x}||\ ||\mathrm{y}||\cos{\theta},\ 0 \le \theta \le \piθ\thetax, y\mathrm{x},\ \mathrm{y}가 이루는 각(angle, 사잇각)이라 함
  • xy=0\mathrm{x}\cdot \mathrm{y} = 0이면, x, y\mathrm{x},\ \mathrm{y}는 서로 직교
    • 직교 판단은 두 벡터의 내적이 0이 되는가?
  • x=ky\mathrm{x} = k\mathrm{y}이면, x, y\mathrm{x},\ \mathrm{y}는 평행

정의

  • x=1||\mathrm{x}|| = 1인 벡터를 단위벡터(unit vector)라 함
  • x, y\mathrm{x},\ \mathrm{y}가 직교한다면, 이 벡터들을 직교(orthogonal)벡터라 함
  • x, y\mathrm{x},\ \mathrm{y}가 직교하면서 각각 단위벡터이면, 정규직교(orthonormal)벡터라 함
  • 삼각부등식 정리
    x+yx+y||\mathrm{x} + \mathrm{y}|| \le ||\mathrm{x}|| + ||\mathrm{y}||
    등호는 x, y\mathrm{x},\ \mathrm{y} 중 하나가 다른 것의 실수(0\ge 0)배일 때만

정의

  • 0벡터가 아닌 임의의 벡터 x\mathrm{x}에 대해
    u=1xx\mathrm{u} = {1 \over ||\mathrm{x}||}\mathrm{x}
    단위벡터이고, Rn\mathbb{R}^n의 단위벡터 중 nn개의 벡터
    e1=(1,0,0,,0), e2=(0,1,0,,0), , en=(0,0,0,,1)\mathrm{e}_1 = (1,0,0,\dots,0),\ \mathrm{e}_2 = (0,1,0,\dots,0),\ \dots,\ \mathrm{e}_n = (0,0,0,\dots,1)
    기본단위벡터(standard unit vector, 표준단위벡터)라 함
  • 이로써 x=x1e1+x2e2++xnen\mathrm{x} = x_1\mathrm{e}_1 + x_2\mathrm{e}_2 + \dots + x_n\mathrm{e}_n로 나타내는 게 가능
  • R2\mathbb{R}^2, R3\mathbb{R}^3에서는 e1, e2, e3\mathrm{e}_1,\ \mathrm{e}_2,\ \mathrm{e}_3 대신 i, j, ki,\ j,\ k를 사용

1.3 직선과 평면의 벡터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기울기(방향벡터)와 한 점

  • 한 점 P0(x0, y0, z0)P_0(x_0,\ y_0,\ z_0)를 지나고 영벡터가 아닌 벡터 v=ai+bj+ck=(a, b, c)\mathrm{v} = a\mathrm{i} + b\mathrm{j} + c\mathrm{k} = (a,\ b,\ c)에 평행한 직선

  • 이 직선이 나타내는 것은 점 P(x, y, z)P(x,\ y,\ z)의 집합

  • 벡터방정식 (OP=p, OP0=p0\overrightarrow{OP} = \mathrm{p},\ \overrightarrow{OP}_0 = \mathrm{p}_0)

    (x, y, z)=p=p0+tv=(x0, y0, z0)+t(a, b, c)(x,\ y,\ z) = \mathrm{p} = \mathrm{p}_0 + t\mathrm{v} = (x_0,\ y_0,\ z_0) + t(a,\ b,\ c)
  • 매개방정식 (매개변수인 tt로 표현)

    x=x0+ta, y=y0+tb, z=z0+tcx = x_0 + ta,\ y = y_0 + tb,\ z = z_0 + tc
  • 대칭방정식

    xx0a=yy0b=zz0c (=t),  (a, b, c 0){x - x_0 \over a} = {y - y_0 \over b} = {z - z_0 \over c}\ (= t),\ \ (a,\ b,\ c \ \neq 0)
  • 벡터와 지나는 한 점이 있다면 직선의 방정식이 확정

평면의 방정식: 법선벡터와 한 점

  • 한 점 P0(x0, y0, z0)P_0(x_0,\ y_0,\ z_0)를 지나고 영벡터가 아닌 벡터 n=(a, b, c)\mathrm{n} = (a,\ b,\ c)에 수직인 벡터들이 이루는 평면
  • 이 평면이 나타내는 것은 아래 식을 만족하는 점 P(x, y, z)P(x,\ y,\ z)의 집합 (OP=p, OP0=p0\overrightarrow{OP} = \mathrm{p},\ \overrightarrow{OP}_0 = \mathrm{p}_0)
    nP0P=(a, b, c)(xx0, yy0, zz0)=0\mathrm{n} \cdot \overrightarrow{P_0P} = (a,\ b,\ c) \cdot (x - x_0,\ y - y_0,\ z - z_0) = 0
  • 이를 평면의 point-normal 방정식이라고 하고, 아래와 같이 간소화 가능
    ax+by+cz=d     (d=ax0+by0+cz0)ax + by + cz = d\ \ \ \ \ (d = ax_0 + by_0 + cz_0)
  • 벡터방정식(평면과, 그 위의 서로 상수배가 아닌 두 벡터가 존재)
    x=x0+t1v1+t2v2,  (<t1, t2<)\mathrm{x} = \mathrm{x}_0 + t_1\mathrm{v}_1 + t_2\mathrm{v}_2,\ \ (-\infin < t_1,\ t_2 < \infin)
  • 매개방정식
    x=x0+t1v1+t2v2\mathrm{x} = \mathrm{x}_0 + t_1\mathrm{v}_1 + t_2\mathrm{v}_2
    (x, y, z)=(x0, y0, z0)+t1(a1, b1, c1)+t2(a2, b2, c2)(x,\ y,\ z) = (x_0,\ y_0,\ z_0) + t_1(a_1,\ b_1,\ c_1) + t_2(a_2,\ b_2,\ c_2)
  • 한 점과 벡터가 주어지면 해당 벡터에 수직이면서 점을 지나는 평면이 결정
  • 한 점과 두 벡터가 주어지면 평면이 결정

정사영

  • 두 벡터 x=OQ, y=OP\mathrm{x} = \overrightarrow{OQ},\ \mathrm{y} = \overrightarrow{OP}
  • 점 P에서 직선 OQ에 내린 수선의 발을 S라 하면, p=OS\mathrm{p} = \overrightarrow{OS}x\mathrm{x} 위로의 y\mathrm{y}의 정사영(projxy\mathbf{proj_xy})
  • w=SP=yp\mathrm{w} = \overrightarrow{SP} = \mathrm{y} - \mathrm{p}x\mathrm{x}에 수직인 y\mathrm{y}의 벡터성분(vector component)이라 함
    projxy=tx,   t=yxxx=yxx2\mathbf{proj_xy} = t\mathrm{x},\ \ \ t = {\mathrm{y} \cdot \mathrm{x} \over \mathrm{x} \cdot \mathrm{x}} = {\mathrm{y} \cdot \mathrm{x} \over ||x||^2}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

  • P0(x0, y0, z0)P_0(x_0,\ y_0,\ z_0)와 평면 π:ax+by+cz+d=0\pi: ax + by + cz + d = 0
  • 사이의 거리
    D=ax0+by0+cz0+da2+b2+c2D = {|ax_0 + by_0 +cz_0 + d| \over \sqrt{a^2 + b^2 + c^2}}
profile
장원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