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Lv 1)/파이썬] 공원 산책

jwKim·2023년 10월 20일
0

💻코테코테

목록 보기
33/42

📌 문제

문제 설명

지나다니는 길을 'O', 장애물을 'X'로 나타낸 직사각형 격자 모양의 공원에서 로봇 강아지가 산책을 하려합니다. 산책은 로봇 강아지에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진행하며, 명령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집니다.

["방향 거리", "방향 거리" … ]
예를 들어 "E 5"는 로봇 강아지가 현재 위치에서 동쪽으로 5칸 이동했다는 의미입니다. 로봇 강아지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두 가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원을 벗어나는지 확인합니다.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 중 장애물을 만나는지 확인합니다.
위 두 가지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로봇 강아지는 해당 명령을 무시하고 다음 명령을 수행합니다.
공원의 가로 길이가 W, 세로 길이가 H라고 할 때, 공원의 좌측 상단의 좌표는 (0, 0), 우측 하단의 좌표는 (H - 1, W - 1) 입니다.

공원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park,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이 담긴 문자열 배열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로봇 강아지가 모든 명령을 수행 후 놓인 위치를 [세로 방향 좌표, 가로 방향 좌표] 순으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3 ≤ park의 길이 ≤ 50
    • 3 ≤ park[i]의 길이 ≤ 50
      • park[i]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
        • S : 시작 지점
        • O : 이동 가능한 통로
        • X : 장애물
    • park는 직사각형 모양입니다.
  • 1 ≤ routes의 길이 ≤ 50
    • routes의 각 원소는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어를 나타냅니다.
    • 로봇 강아지는 routes의 첫 번째 원소부터 순서대로 명령을 수행합니다.
    • routes의 원소는 "op n"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op는 이동할 방향, n은 이동할 칸의 수를 의미합니다.
      •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N : 북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S : 남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W : 서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E : 동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1 ≤ n ≤ 9

입출력 예

parkroutesresult
["SOO","OOO","OOO"]["E 2","S 2","W 1"][2,1]
["SOO","OXX","OOO"]["E 2","S 2","W 1"][0,1]
["OSO","OOO","OXO","OOO"]["E 2","S 3","W 1"][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입력된 명령대로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하면 [0,0] -> [0,2] -> [2,2] -> [2,1]이 됩니다.

입출력 예 #2

입력된 명령대로라면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해야하지만 남쪽으로 2칸 이동할 때 장애물이 있는 칸을 지나기 때문에 해당 명령을 제외한 명령들만 따릅니다. 결과적으로는 [0,0] -> [0,2] -> [0,1]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처음 입력된 명령은 공원을 나가게 되고 두 번째로 입력된 명령 또한 장애물을 지나가게 되므로 두 입력은 제외한 세 번째 명령만 따르므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0,1] -> [0,0]

📌 풀이

코드

def solution(park, routes):
    # {S : 0, O : 1, X : -1} 인 차원 배열 만들기
    dict_p = { "S" : 0, "O" : 1, "X" : -1 }
    park_arr = list()
    for y in park :
        temp_arr = list()
        for x in y :
            temp_arr.append(dict_p[x])
        park_arr.append(temp_arr)
            
    H = len(park_arr) - 1     # 높이(인덱스로 맞춰주기 위해 1 빼줌)
    W = len(park_arr[0]) - 1  # 넓이(인덱스로 맞춰주기 위해 1 빼줌)
    
    
    # 시작점 찾기
    for y in range(len(park)) :
        if 'S' in park[y] :
            for x in range(len(park[y])) :
                if park[y][x] == 'S':
                    start = [y, x] 
    
    y, x = start[0], start[1] # 강아지 위치 - 시작점으로 초기화
    
    # 동작
    for r in routes :
        direc, dist = r.split()[0], int(r.split()[1]) # 방향과 거리
        
        
        if direc == 'E' : 
            if x + dist <= W and not -1 in park_arr[y][x : x + dist + 1] : # 공원을 넘지도 않고, 진행 방향에 -1이 없는 경우에만 이동
                x += dist
        if direc == 'W' :
            if x - dist >= 0 and not -1 in park_arr[y][x - dist : x] :
                x -= dist
        if direc == 'S' :
            y_arr = [park_arr[i][x] for i in range(len(park_arr))] # 해당 위치의 y 값들
            if y + dist <= H and not -1 in y_arr[y : y + dist + 1] :
                y += dist
        if direc == 'N' :
            y_arr = [park_arr[i][x] for i in range(len(park_arr))] # 해당 위치의 y 값들
            if y - dist >= 0 and not -1 in y_arr[y - dist : y] :
                y -= dist
            

    # 마지막 동작까지 다 한 후의 위치
    answer = [y, x]       

    return answer

설명

입력받은 park를 0, 1, -1,로 바꾼다.(지금 생각하니 굳이 안해도 될 것 같다.) 그리고 시작지점을 찾아 start에 넣어준다. 강아지 초기 위치는 start이다. 그리고 routes를 돌면서 갈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주요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방향(direc) - E, W, S, N 중 하나를 받는다.
  2. 명령 수행 시 공원 범위를 넘어가는지 - 각 방향마다 H와 W를 현재 위치와 명령 거리(dist)를 계산해서 비교
  3. 가는 길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 - 슬라이싱을 해주고, 슬라이싱 한 결과에 -1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 -1이 슬라이싱한 리스트 안에 있으면 장애물을 만난 것이므로 갈 수 없음

위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강아지 위치인 y와 x를 업데이트 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