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리즈에서는 "쿠팡이츠 클론코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노마드코더의 "우버이츠 클론코딩" 강의를 기반으로, 기존 우버이츠 프로세스와 코드를 쿠팡이츠에 맞게 리로딩하여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입니다.기존 우버이츠는 음식 추가, 주문 기능, 간단하게 디자인된
Nest.js로 백엔드를 소개하기 이전에 먼저 이해해야할 Node.js의 이론을 잠시 짚고 넘어가보려 합니다. Node.js는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외부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입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서버사이드 개발에 관심이 있다면 꼭
Node.js는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밖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입니다. 그 핵심은 V8 엔진과 libuv 라이브러리, 그리고 이벤트 루프에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Node.js가 어떻게 작업을 처리하고 비동기 I/O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지
Node.js는 고성능 웹 서버를 쉽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Node.js로 웹 서버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고, HTTP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웹 서버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 웹 사
npm(Node Package Manager)은 Node.js 생태계의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Yarn은 Facebook에서 npm을 보완하기 위해 만든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이 글에서는 npm과 Yarn을 사용해 패키지를 관리하는 방법과 이 둘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온
Node.js와 MongoDB로 시작하는 데이터베이스 활용 들어가며 현대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이며, Node.js와 MongoDB를 활용해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데이터베
들어가며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특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이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Node.js에서 TypeORM을 사용하
GraphQL로 API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GraphQL은 API를 설계하고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입니다.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요청하고 예측 가능한 응답을 제공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GraphQL의 개념과
Node.js 생태계에는 Express.js와 Nest.js라는 두 가지 주요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Nest.js로 쿠팡이츠를 구현해볼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Node.js에 대한 간단한 소개에 이어, Nest.js에 대한 소개를 해보려 합니다.N
이번 편에서는 지난 편에 이어 Nest.js의 기본 개념들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Nest.js는 모듈, 컨트롤러, 서비스, 프로바이더 등 몇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합니다.Request: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HTTP 요청Controlle
이번 편에서는 지난 편에 이어 Nest.js의 기본 개념을 활용하여 API의 개념과 API를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을 돕는 매개체로,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인증(Authentication)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Passport는 커뮤니티에서 잘 알려져 있고 많은 프로덕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인기 있는 Node.js 인증 라이브러리입니다. @nestjs/passport 모듈을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project명을 입력하라고 나온다. 나는 여기에서 coupang_eats_backend로 만들 것이다. 그 다음 해당 위치로 가서 npm i를 하여 pacage.json의 내용을 install해준다.git에 레퍼지토리를 만들고 git에서 제공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다양한 환경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성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개발 환경, 테스트 환경, 프로덕션 환경 등 각 환경에 맞는 설정을 적용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NestJS의 ConfigModule
암호화와 해시 함수는 비밀번호를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기술입니다. 해시 함수는 비밀번호를 고정된 길이의 해시 값으로 변환하며, 암호화는 비밀키 또는 공개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입니다.양방향 암호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할 수 있는 기법으로,
1. 인증(Authentication) 인증은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며, NestJS에서는 @nestjs/passport 모듈을 통해 Passport 라이브러리를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Passport는 Node.js 생태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증
NestJS를 사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종종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처리하기 위해 JWT(JSON Web Token)를 사용합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Middleware)를 활용하여 각 요청에서 사용자의 토큰을 검증하고, 유효한 사용자를 식별
이번 글에서는 Nest.js에서 Role-Based Access Control (RBAC)을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RBAC는 사용자 역할에 따라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글에서는 RBAC의 개념, 커스텀 데코레이터를 통한 역할 설정,
이 블로그 글에서는 NestJS의 Guards 기능과 GraphQL Context의 활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uards는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만 요청을 허용하는 보안 메커니즘으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에 중요한
이번 글에서는 Nest.js에서 이메일 인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개념과 코드 예제를 소개합니다. 이메일 인증은 사용자 가입 시 유효한 이메일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인증 이메일을 통해 발송된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계정이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이번 포스트에서는 Nest.js와 GraphQL을 활용하여 사용자(User)와 관련된 간단한 CRUD API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번 튜토리얼은 Nest.js의 구조와 GraphQL의 쿼리 언어를 이해하고, 간단한 계정 관리 기능을 직접 만들어보
Nest.js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모듈식 아키텍처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GraphQL과 함께 사용하면 데이터 관리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카테고리 분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GraphQL API 개발을 소개하겠습니다.카테
이전 편에서 카테고리 분류 기능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테고리의 페이지를 나누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 필요한 페이지네이션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Nest.js에서 페이지네이션을 구현하기 위
GraphQL은 REST API와 달리 한 번의 요청으로 필요한 데이터만 효율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데이터 변화를 클라이언트로 즉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GraphQL Subscriptions를 사용하면 효율
이번편은 지난 Subscriptions를 활용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이어서 GraphQL Subscriptions의 필터링 및 페이로드 변경과 Altair GraphQL Client를 이용한 테스트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고 Subscriptions를 마무리 하고자
NestJS는 Express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프레임워크로서, 파일 업로드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 모듈을 통해 AWS S3에 손쉽게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Multer를 사용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고, AWS SDK를 활용하여 S3에 파일을 저장하는
이번 편에서는 마지막으로 배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엔드 배포는 Render를 통해서 진행이 되었습니다. 먼저 PostgreSQL을 서버에 배포한 후에, Nest.js 백엔드를 배포하였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GitHub 계정 연동으로 회원가입을 해주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