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의 각종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한 것이다. 운영체제는 성능평가 요소가 4가지 존재하는데 아래와 같다.
운영체제의 입출력 방식은 버퍼링(Buffering)과 스풀링(Spooling) 방식이 있다.버퍼링(Buffering) 입출력장치와 CPU의 속도차이로 데이터를 직접 넘기지 않음. 주 기억 장치(RAM)의 일부분을 버퍼로 사용함.스풀링(Spooling) 입출력장치와

기본적으로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수행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주 기억 장치에서 명령어를 인출하여 프로세서로 가져온다.단, 메모리 접근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N번 더 메모리에 접근하여 인출한다.프로세서에서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렇게 메모리에 있는 명령어를 순서대로

프로세스는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사용자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는 차이가 있는데, 프로그램은 실행 명령의 집합으로 주 기억 장치에 적재되지 않은 명령들을 말하고, 프로세스는 실행 중으로 주 기억 장치에 적재되어있는 명령을 말한다.동기(Synch
다중 프로그래밍 운영체제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하는 데이터 또는 자원에 대해 한 프로세스만 사용하도록 지정된 공유 자원을 말한다.임계 구역에는 한 프로세스만 접근이 가능하고 한 프로세스가 자원을 반납한 후에만 다른 프로세스가 접근이 가능하다.임계 구역은 한 프로세스가

CPU나 자원을 효과적, 생산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계획이다.이는 공정한 처리, 처리율 증가, 이용률 증가, 오버헤드 최소화, 응답/반환 시간 최소화, 무한대기 상태 회피 등 여러가지 목적을 갖는다.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은 크게 선점형(Preemptive),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둘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대기하는 현상교착상태가 발생의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1\. 상호 배제 조건2\. 점유 및 대기 조건3\. 비선점 조건4\. 환형 대기 조건
주기억장치 관리전략기법은 3가지 나뉘는데 아래와 같다.1\. 반입(fetch) 요구 반입 : 프로그램이 데이터 등의 참조를 요구할 때 적재하는 방법 예상 반입 : 프로그램이 참조할 데이터를 미리 예상하여 적재하는 방법2\. 배치(placement) 최초 적합 전략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 기억장치 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주 기억장치의 용량보다 더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한다.이때 주소를 변환하는 주소 Mapping 작업이 필요하며 이 작업은 가상 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주소를 주 기억장치의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트랙(Track) : 한 디스크의 같은 반지름에 있는 섹터들의 집합섹터(Sector) : 트랙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놓은 것. 데이터 R/W의 최소 단위실린더(Cylinder) : 동일한 반지름을 갖는 트랙들의 집합탐색시간(Seek time) : 헤드가 데이터가 위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에 대해 수정, 삭제, 추가, 검색 등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시스템종류 : FAT(16), FAT32, NTFS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블록보조기억장치에 위치하다
프로세스 처리 방식의 한 종류로 여러 대의 컴퓨터가 통신 회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한 작업을 동시에 같이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자원공유, 연산 속도 향상, 신뢰도 향상, 통신/작업 처리량 증가 목적을 가지고 있다.통신에 용이하고 장치 공유 가능, 중앙 컴퓨터의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