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
- 통신을 하는 것은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 telecomuncation 원거리 통신을 의미한다
- telephony, telegraph, television 포함
- 데이터 통신은 전송 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구성요소
-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갖는다.

(1) 메시지
- 통신의 대상이 되는 정보
- Text, numbers, pictures, audio and video
(2) 송신자
-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
- Computer, workstation, telephone handset, video camera 등
(3) 수신자
- 메시지를 받는 장치
- Computer, workstation, telephone handset, video camera 등
(4) 전송 매체
- 메시지가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이동하는 물리적인 경로
- Twisted pair wire, coaxial cable, fiber-optic cable, laser or wireless wave
(5) 프로토콜
데이터 표현
Text : 비트 패턴 (0과 1로 된 비트들의 sequence)
- code : 서로 다른 비트 패턴의 집합 → 코딩
- 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7 비트)
- Unicode : 32개 비트를 사용해 전 세계의 모든 언어에서 사용되는 부호나 문자를 표현
Number : 비트 패턴을 사용해 나타낸다.
Image : 화소(pixel), 해상도(resoultion)
- 이미지는 화소라는 작은 점들의 행렬로 구성
- 화소의 크기는 해상도에 따라 다르다.
- 흑백 화소는 1 비트 패턴이면 충분하다
- 컬러 영상은, RGB, YCM(yellow, cyan, magenta)가 있다
Audio : 소리나 음악
Video : 연속적인 것
데이터 flow
Simplex

Mainframe : 개인 컴퓨터가 나오기 전 주 전산기(메인서버)
Half-duplex

Full-duplex

네트워크
- 통신이 가능한 서로 연결된 장치의 모음
- 장치는 large computer, desktop, laptop, workstatpion, cellluar phone, security system과 같은 호스트가 될 수 있다.
- 또한, 장치는 router, switch, 데이터의 형태를 변환하는 modem 등과 같은 연결 장치가 될 수 있다.
Node와 Link
- node : 연결 장치
- link : 두 개 이상의 노드들이 연결하는 체인
물리적 구조
연결 유형
1) point to point : 두 장치 간의 전용 링크를 제공

2) Multipoint : 3개 이상의 특정 기기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

물리적 접속형태 (Physical Topology)

1) Star Topology

2) Bus Topology

Bus : 데이터를 실어나르는 통로
3) Ring Topology

4) Mesh Topology

네트워크 유형
- size, geographical coverage, ownership과 같은 기준을 통해 구분함

LAN : 일반적으로 제한된 좁은 지역의 크기에 사용
WAN : 도시지역의 네트워크
WAN : 넓은 지리적인 크기에 사용
LAN
- 일반적으로 제한된 크기의 작은 사무실 건물 또는 캠퍼스에 사용된다.
- 개인 소유이거나 단일 사무실, 건물 혹은 학교 등에 있는 호스트들을 연결한다,
- 각 호스트는 LAN에서 호스트들을 유일하게 구분하는 식별자인 주소를 가지고 있다.
-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보내지는 패킷은 발신지 호스트 주소와 목적지 호스트 주소를 같이 보낸다.
패킷 : 통신하기에 맞게 메시지를 잘라 놓은 것

WAN
- 넓은지리적인 크기를 같은 도시나 주, 국가 또는 세계에 사용된다.
- switch, router, modem, hub와 같은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장비를 연결한다.
- 통신 회사가 만들고 임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1) point-to-point WAN

- 전송 매체(케이블 또는 공기)를 통해 두 통신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2) Switched WAN

3) 네트워크 간 연결
- LAN이나 WAN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는 거의 없고 서로연결되어 있다.
- 2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될 경우, 인터넷(internet) 또는 네트워크간 연결(internetwork)을 구성한다.
internetwork

heterogeneous network

modem : 전화선을 사용, 아날로그 신호가 전달
Router : 광케이블, 통신 케이블 사용
Switching
- 효율적인 동작과 관리를 위함
- internetwork는 여러 스위치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 switch는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달할때 필요하다.
- circuit-switched와 packet-switched 방식이 있다.
1) Circuit-Switched Networrk
- 전용선이 구성된다.
- 과거 집전화에 사용
- 요즘에는 packet-switched network로 바뀌었다.

- 선을 혼자 사용하지 않고, switch를 사용해서 다같이 사용한다.
- 속도가 빨라야하고 용량이 커야한다.
2) Packet-Switched Network

- 라우터에 메모리가 존재한다.
-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시켰다가 전달함 (storing and forwarding)
Internet
- internetwork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 집합이다.
- 가장 대표적인 것이 Internet으로 수천 개의 상호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들로 구성된다.

1) Backbone
- Sprint, Verzion, AT&T, NTT, KT와 같은데서 운영되는 Large Network
2) Provider Network
3) Consumer Network
- 인터넷 말단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Backbone과 Provider Network는 ISP라고도 불린다
- Backbone : 국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ernational ISP)
- Provider Network : 국가 또는 지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national or regional ISP)
Internet 접속
- Internet은 internetwork이며 사용자들이 그 일부가 되게 한다.
- 사용자들은 물리적으로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에 연결되어야 한다.
- 이러한 물리적인 연결은 point-to-point WAN을 통해 이루어진다.
- 전화망, 케이블망. 무선망, 인터넷에 직접 연결
좋은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