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Introduction to computer network

YJ·2024년 3월 27일
0

데이터 통신

  • 통신을 하는 것은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 공유는 근거리일수도 원거리일수도 있다.
  • telecomuncation 원거리 통신을 의미한다
    • telephony, telegraph, television 포함
  • 데이터 통신은 전송 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구성요소

  •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갖는다.

(1) 메시지

  • 통신의 대상이 되는 정보
  • Text, numbers, pictures, audio and video

(2) 송신자

  •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
  • Computer, workstation, telephone handset, video camera 등

(3) 수신자

  • 메시지를 받는 장치
  • Computer, workstation, telephone handset, video camera 등

(4) 전송 매체

  • 메시지가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이동하는 물리적인 경로
  • Twisted pair wire, coaxial cable, fiber-optic cable, laser or wireless wave

(5) 프로토콜

  •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규칙들의 집합

데이터 표현

Text : 비트 패턴 (0과 1로 된 비트들의 sequence)

  • code : 서로 다른 비트 패턴의 집합 → 코딩
  • 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7 비트)
  • Unicode : 32개 비트를 사용해 전 세계의 모든 언어에서 사용되는 부호나 문자를 표현

Number : 비트 패턴을 사용해 나타낸다.

Image : 화소(pixel), 해상도(resoultion)

  • 이미지는 화소라는 작은 점들의 행렬로 구성
  • 화소의 크기는 해상도에 따라 다르다.
  • 흑백 화소는 1 비트 패턴이면 충분하다
  • 컬러 영상은, RGB, YCM(yellow, cyan, magenta)가 있다

Audio : 소리나 음악

Video : 연속적인 것

데이터 flow

Simplex

  • 한 방향으로만 통신이 일어남
    • 자판 : 입력, 모니터 : 출력

Mainframe : 개인 컴퓨터가 나오기 전 주 전산기(메인서버)

Half-duplex

  • 양방향 통신이 되나 동시에는 할 수 없음

Full-duplex

  •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

네트워크

  • 통신이 가능한 서로 연결된 장치의 모음
    • 장치는 large computer, desktop, laptop, workstatpion, cellluar phone, security system과 같은 호스트가 될 수 있다.
    • 또한, 장치는 router, switch, 데이터의 형태를 변환하는 modem 등과 같은 연결 장치가 될 수 있다.

Node와 Link

  • node : 연결 장치
  • link : 두 개 이상의 노드들이 연결하는 체인

물리적 구조

연결 유형

1) point to point : 두 장치 간의 전용 링크를 제공

2) Multipoint : 3개 이상의 특정 기기가 하나의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

물리적 접속형태 (Physical Topology)

  • 물리적 혹은 논리적인 네트워크 배치 방식

1) Star Topology

2) Bus Topology

  • Link에 여러 형태로 연결한 것

Bus : 데이터를 실어나르는 통로

3) Ring Topology

  • 끝과 끝이 연결됨

4) Mesh Topology

  • 모든 것을 서로 연결시키는 형태

네트워크 유형

  • size, geographical coverage, ownership과 같은 기준을 통해 구분함

LAN : 일반적으로 제한된 좁은 지역의 크기에 사용

WAN : 도시지역의 네트워크

WAN : 넓은 지리적인 크기에 사용

LAN

  • 일반적으로 제한된 크기의 작은 사무실 건물 또는 캠퍼스에 사용된다.
  • 개인 소유이거나 단일 사무실, 건물 혹은 학교 등에 있는 호스트들을 연결한다,
  • 각 호스트는 LAN에서 호스트들을 유일하게 구분하는 식별자인 주소를 가지고 있다.
  •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보내지는 패킷은 발신지 호스트 주소와 목적지 호스트 주소를 같이 보낸다.

패킷 : 통신하기에 맞게 메시지를 잘라 놓은 것

WAN

  • 넓은지리적인 크기를 같은 도시나 주, 국가 또는 세계에 사용된다.
  • switch, router, modem, hub와 같은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장비를 연결한다.
  • 통신 회사가 만들고 임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1) point-to-point WAN

  • 전송 매체(케이블 또는 공기)를 통해 두 통신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2) Switched WAN

  • swtich를 통해 교통 정리를 해준다.

3) 네트워크 간 연결

  • LAN이나 WAN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는 거의 없고 서로연결되어 있다.
  • 2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될 경우, 인터넷(internet) 또는 네트워크간 연결(internetwork)을 구성한다.

internetwork

heterogeneous network

modem : 전화선을 사용, 아날로그 신호가 전달

Router : 광케이블, 통신 케이블 사용

Switching

  • 효율적인 동작과 관리를 위함
  • internetwork는 여러 스위치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 switch는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달할때 필요하다.
  • circuit-switched와 packet-switched 방식이 있다.

1) Circuit-Switched Networrk

  • 전용선이 구성된다.
  • 과거 집전화에 사용
  • 요즘에는 packet-switched network로 바뀌었다.

  • 선을 혼자 사용하지 않고, switch를 사용해서 다같이 사용한다.
  • 속도가 빨라야하고 용량이 커야한다.

2) Packet-Switched Network

  • 패킷을 가지고 전달한다.

  • 라우터에 메모리가 존재한다.
  •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시켰다가 전달함 (storing and forwarding)

Internet

  • internetwork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 집합이다.
  • 가장 대표적인 것이 Internet으로 수천 개의 상호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들로 구성된다.

1) Backbone

  • Sprint, Verzion, AT&T, NTT, KT와 같은데서 운영되는 Large Network

2) Provider Network

  • 요금을 지불하여 백본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3) Consumer Network

  • 인터넷 말단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Backbone과 Provider Network는 ISP라고도 불린다

  • Backbone : 국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ernational ISP)
  • Provider Network : 국가 또는 지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national or regional ISP)

Internet 접속

  • Internet은 internetwork이며 사용자들이 그 일부가 되게 한다.
  • 사용자들은 물리적으로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에 연결되어야 한다.
  • 이러한 물리적인 연결은 point-to-point WAN을 통해 이루어진다.
    • 전화망, 케이블망. 무선망, 인터넷에 직접 연결
profile
제 글이 유익하셨다면 ♡와 팔로우로 응원 부탁드립니다.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1월 18일

좋은글 감사합니다.

1개의 답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