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코프란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
모든 식별자(변수 이름, 함수 이름, 클래스 이름 등등)는 선언된 위치에 따라 다른 코드가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된다.
var x = 'yun'; // 1번
function myName() {
var x = 'jihyun'; // 2번
console.log(x)
}
myName()
console.log(x)
코드의 가장 바깥영역에서 선언된 x와 함수내부에서 선언된 x중 함수 내부와 외부에서 변수 x를 참조할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를 통해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할지 결정한다.
위 예제에서 보면 1번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 변수로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다. 하지만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2번) x는 지역 변수로 함수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고 외부에서는 참조하지 못한다.
프로그래민 언어에서는 스코프, 즉 유효범위를 통해 식별자(변수이름)의 충돌을 방지하여 같은 이름의 변수를 사용 할 수 있다.
함수는 전역에서 정의할 수 있고 함수 내부에서 또다른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함수 내부에서 정의된 함수를 '중첩 함수'라고 하고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를 '외부 함수'라고 한다.
let a = "global a";
let b = "global b";
// 외부함수
function outer() {
let c = "outer's local c";
console.log(c) // outer's local c
// 중첩함수
function inner() {
let d = "inner's local d";
console.log(d) // inner's local d
}
inner();
}
outer();
console.log(c) //error
이렇게 함수는 중첩될 수 있고 지역 스코프도 중첩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이를 '스코프가 함수의 충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라고 설명한다. 중첩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이고 외부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이다. 이렇게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을 스코프 체인이라고 불린다. 변수를 참조할때(위의 예시에선 console.log(변수이름))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해당 코드의 스코프부터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찾는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로드되면 곧바로 '렉시컬 환경'을 생성한다. 변수 선언이 실행되면 변수 식별자가 렉시컬 환경에 키(key)로 등록되고, 변수 할당이 일어나면 변수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을 변경한다. 위 예시에서 보면 코드가 로드되면 전역 렉시컬 환경이 곧바로 생성되고 변수 a, b가 key로 등록되며 변수 할당이 일어나면 "global a"는 변수 a의 값으로 "global b"는 변수 b의 값으로 변경된다.
또 함수 렉시컬 환경은 함수가 호출되면 곧바로 생성된다.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스코프를 결정하는 방식(동적 스코프)과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방식(렉시컬 스코프 혹은 정적 스코프)이 있다.
먼저 동적 스코프는 함수를 정의하는 시점에선 함수가 어디서 호출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함수가 호출되는 시점에 동적으로 상위 스코프를 결정해야 한다.
렉시컬 스코프는 동적 스코프방식처럼 상위 스코프가 동적으로 변하지 않고 함수가 정의되는 시점에 상위 스코프가 정적으로 결정된다.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가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