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통계학] 확률과 통계 기초

·2023년 5월 2일
0

[기초 통계학]

목록 보기
1/6

모든 내용 출처 : 통계의 본질 EOStatistics@eostatistics


경우의 수

1. 시행과 표본공간

시행

확률론에서 시행은 1) 무한히 반복될 수 있고 2)가능한 모든 결과에 대해 잘 정의된 집합 (동전 던지기, 주사위 .. ) 을 갖는 행위이다. 이 집합은 표본공간이라고 부른다 .

표본공간

어떤 시행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결과를 모아놓은 집합
: 동전 {앞, 뒤} 주사위 {1, 2, 3, 4, 5, 6}

2. 사건

사건은 시행 결과들의 집합이다. 이 집합에는 확률이 할당되어 있다.
표본공간의 부분 집합

주사위 홀수 사건 : {1, 3, 5} = 3/6
주사위 짝수 사건 : {2, 4, 6} = 3/6

3. 합사건, 곱사건, 배반사건, 여사건

어떤 시행의 표본공간 : S

📝주사위 던지기

S = {1, 2, 3, 4, 5, 6}
A : 홀수의 눈이 나오는 사건 = {1, 3, 5}
B : 짝수의 눈이 나오는 사건 = {2, 4, 6}
C : 3이상의 눈이 나오는 사건 = {3, 4, 5, 6}

A와 B의 합사건 : {1, 2, 3, 4, 5, 6}
A와 C의 곱사건 : {3, 5}
A와 B는 배반 사건인가? : 교집합이 없으므로 배반사건
C의 여사건 : 표존공간에서 C를 제외한 나머지 : {1, 2}

4. 순열과 조합

순열 : 순서가 있는 나열

서로다른 n개 중에서 r개를 뽑아서 순서가 있게 나열하는 것

a, b, c 세개의 알파벳 중에서 2개를 택하는 순열
= {(a,b), (a,c), (b,a), (b,c), (c,a), (c,b)}

a, b, c, d, e 중 2개를 선택
5P2 = 5!/(5-2)! = 5*4 = 20

조합 : 순서가 없는 나열

서로다른 n개 중에서 순서에 상관없이 r개를 선택하는 것

a, b, c 세개의 알파벳 중에서 2개를 택하는 순열
= {(a,b), (a,c), (b,c)}

a, b, c, d, e 중 2개를 선택
5C2 = 5! / (5-2)!(2!) = 5*4/2*1 = 10

조합의 성질

1) nCr = nC(n-r)

A, B, C, D, E 중 3 개를 뽑는 조합

📝 직관적인 이해

	ABC (DE)
	ABD (CE)
	ABE (CD)
	BCD (AE)
	  ...


   5C3 = 5C2 

📝 수학적인 이해

nC(n-r) = n!/(n-r)!(n-(n-r))!
= n!/(n-r)!
(n-n+r)!
= n!/(n-r)!*r!

2) nCr = (n-1)Cr + (n-1)C(r-1)

5C3 = 4C3 + 4C2 

📝 직관적인 이해

  • A B C D E 중 3개 뽑는 경우
    5C3 = 5!/(5-3)!*3! = 10
ABC    BCD
ABD    BCE 
ABE    BDE
ACD    CDE 
ACE
ADE

4C2  +  4C3

📝 수학적인 이해

nCr = (n-1)Cr + (n-1)C(r-1) 
    = (n-1)!/(n-1-r)!r! + (n-1)!/(n-r)!(r-1)!
    = (n-r) * (n-1)!/ (n-r) * (n-1-r)!r! + r * (n-1)!/ r * (n-r)!(r-1)! 
    = (n-r) * (n-1)!/(n-r)!r! + r * (n-1)!/(n-r)!r! 
    = n*(n-1)!-r(n-1)!+r(n-1)! / (n-r)!r! 
    = n*(n-1)! / (n-r)!r! 
    = n! / (n-r)!r! 
    = nCr 

사건과 경우의 수

사건 : 어떤 시행의 결과들의 집합
경우의 수 : 사건의 원소의 개수

서로 다른 주사위 두개를 던질 때, 두 눈의 합이 11인 경우의 수
사건 : { (5,6), (6,5) }
경우의 수 : (5,6) (6,5)

확률

사건의 개수 / 표본공간(S)의 개수

사건 A가 발생할 확률 : P(A) = n(A)/n(S)

확률의 덧셈정리

사건 A 또는 B가 발생할 확률 = P(A∪B)

P(A∪B) = n(A∪B)/n(S) 
        = n(A)+n(B)-n(A∩B) / n(S)
        = P(A)+P(B)-P(A∩B)

조건부 확률

사건 B가 발생했을 때, 사건 A가 발생할 확률 = P(A|B)

 P(A|B) = P(A∩B) / P(B) 
 P(B|A) = P(A∩B) / P(A) 

확률의 곱셈정리

사건 A와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1) P(A∩B) = P(A|B) * P(B)
2) P(A∩B) = P(B|A) * P(A)

profile
개발하고싶은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