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n>
태그-제목표시하기제목 텍스트는 일반 텍스트보다 굵고 진하게 표시됩니다.
<hn>
태그는 일반 텍스트 보다 굵고 진하게 표시됩니다.<hn>
태그는 제목을 뜻하는 줄임말인 'h'와 제목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 (1~6)을 사용해서 <h1>
에서<h6>
까지 표현합니다.<h1>
이 가장 큰 제목이고 <h6>
이 가장 작은 크기의 제목입니다.<p>
태그-단락만들기텍스트를 표시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태그가
<p>
태그입니다.
<p>
태그는 parapraph의 줄임말로, 텍스트 단락을 만드는데 이때 '단락'이란 앞뒤에 줄바꿈이 있는 텍스트 덩어리를 말한다.<p>
태그로 표시하는 텍스트 단락은</p>
태그를 만날 때까지 줄바꿈 없이 텍스트를 한 줄로 표시하는데 텍스트 줄이 브라우저 창의 너비보다 길어질 경우 줄이 자동으로 바뀝니다.<br>
태그-줄바꾸기텍스트 단락에서 줄바꿈을 하더라도 웹 브라우저 창에는 줄바꿈없이 한 줄로 표시됩니다.
<br>
태그를 사용합니다. <br>
태그는 break의 줄임말이고 닫는 태그는 없습니다.<hr>
태그-분위기 전환을 위한 수평 줄 넣기
<hr>
태그는 horizontal의 줄임말로, 수평 줄을 삽입할 때 사용합니다.
<hr>
태그를 사용하면 기본으로 가로선이 삽입되는데 CSS를 이용하여 가로선을 없엘수도 있습니다.<blockquote>
태그-인용문 넣기다른 블로그나 사이트의 글을 인용할 경우,
<blockquote>
태그를 이용해 표시합니다.
<h1>제주 이색 여행지</h1>
<h2>야외 텐트를 닮은 건출물"테쉬폰"</h2>
<p>아일랜드 출신 임피제 신부가....활용했습니다.</p>
<p>제주에서 점차 다른 지방으로...남아 있는데, <br>
국내 근현대 건축사의...평가합니다.</p>
<hr>
<blockquote>성이시돌목장은 제주특별자치도..테쉬폰도 유명하다.(출저:향토문화전자대전)
</blockquote>
<pre>
태그-입력하는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기HTML에서는 아무리 많은 공백을 넣어도 브라우저 창에는 한 개의 공백만 표시 됩니다.
하지만<pre>
태그를 사용할 경우, 소스에 표시한 고백이 브라우저에 그대로 표시됩니다.
<code>
,<samp>
,<kbd>
같은 태그를 사용해 프로그램 소스를 표시할 때도 소스의 형태를 그대로 브라우저 창에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pre>
태그가 함께 사용됩니다.<pre>
태그는 preformat의 줄임말입니다.<h3>로컬 스토리지(Local Storeage)를 저장하는 함수 : </h3>
<pre>
fuction savetheLocal(){
var second =document.getElementById("second");
var thevalue = second.value;
lovalStorage.setItem(1, thevalue);
gettheLocal();
}
</pre>
<strong>
,<b>
태그- 굴게표시하기텍스트 중에서 굵게 표시하려고 할때
<strong>
나<b>
태그를 사요합니다.
<strong>
은 경고나 주의사항처럼 중요한 내용이므로 강조해야 할 때 씁니다.<b>
는 문서의 키워드 처럼 단순히 굵게 표시할 때 씁니다.<strong>굵게 강조할 텍스트 </strong><br>
<b>단순히 굵게 표시할 텍스트</b>
<em>
,<i>
태그-이탤릭체로 표시하기텍스트를 비스듬히 이탤릭체로 표시할 떄는
<em>
,<i>
태그를 사용합니다.
<em>
태그는 emphasis의 줄임말이고 <i>
는 italic의 줄임말 입니다.<em>
태그를 사용합니다.<i>
태그는 마음 속의 생각이나 꿈, 기술적인 용어, 다른언어의 관용구를 사용할 때 사용합니다.<h2>제주 이색 여행지 - 이중섭 거리</h2>
<p><strong>주말</strong>마다<b>'서귀포문화예술디자인시장'</b>이 열립니다.</p>
<p><em>'아트마켓'</em>이라고도 부르는데 <i>문화예술체험</i>이나<i>공연관람</i>을 할 수도 있고 <br>작가들이 직접 만든 창작예술품 등을 판매하기도 합니다.</p>
<p>
태그-인용 내용 표시하기
<q>
태그는 인용한 내용을 표기하기 위한 것으로 quote의 줄임말입니다.
<blockquote>
태그는 블록 레벨 태그이기 때문에 인용 내용이 줄이 바뀌어 나타나고 다른 내용과 구별되도록 안으로 들여 써지지만 <q>
태그는 인라인 레벨 태그이기 때문에 줄바꿈 없이 다른 내용과 함께 한줄로 표시되고 인용 내용을 구별할 수 있도록 따옴표를 붙여 표시합니다.<h1>웹 접근성</h1>
<p>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 (Tim Berners-Lee)의
<q cite="http://www.w3.org/standards/webdesign/accessibility">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다.
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q>라는 말로 웹 전근성을 설명한다.</p>
<mark>
태그-형광펜 효과 내기
<mark>
태그는 선택한 부분의 배경색이 노란색이 되며 형관팬으로 그어 놓은 듯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mark>형관펜색깔로나타내기</mark>
<span>
태그-줄바꿈 없이 영역 묶기
<span>
태그는 태그 자체로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텍스트 단락 안에서 줄바꿈 없이 일부 텍스트만 묶어 스타일을 적용하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h2>야외 텐트를 닮은 건축물<mark>"테쉬폰"</mark></h2>
<p>아일랜드 출신...남아 있으며<span style="color:blue">국내 근현대 건축사의 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가치를 지닌다</span>고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p>
<p>물의 화학식은 <b>H<sub>2</sub>0</b>다</p>
<p>E=mc<sup>2</sup></p>
<p>가격:13,000원<small>(부가세별도)</small></p>
<p>링크 표시용도가 아니라 단순히 긋는다면<u>u태그</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