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바스크립트 구성 요소 >
1. 변수(var, let, const)
2. 함수(내장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3. 객체(내장 객체, 사용자 정의 객체)
자바와 달리 클래스 틀이 아닌 객체 자체를 정의 가능
객체 담기 위한 변수를 선언하고, 중괄호를 사용하여 속성(변수) 정의
별도의 인스턴스 생성 없이 지정된 변수를 통해 객체에 즉시 접근 가능
< 객체 정의 기본 문법 >
var 객체변수명 = {
변수명 : 데이터
키1 : 값1 // 위랑 같은 말
... 생략 ...
키n : 값n
}
< 객체 사용 기본 문법 >
객체변수명.키
var person = {
name : "김경민", // 프로퍼티
age : 20,
hobby : ""
}
프로퍼티 : 객체가 갖는 키 : 값의 한 쌍
세미콜론 사용하지 X
저장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 최소한의 데이터를 함께 지정해야 함
document.write("이름 : " + person.name + "<br>");
document.write("나이 : " + person.age + "<br>");
document.write("취미 : " + person.hobby + "<br>");
객채변수명.키
person.name = "이순신";
person.hobby = "없음";
person.isHungry = true;
person.height = 178.2;
delete person.height;
delete
연산자를 사용하여 프로퍼티 삭제 가능
프로퍼티 삭제 후 값 출력 시 undefined로 출력됨
-> 삭제되서 값이 존재하지 않으니까!
document.write("name" in person) // true 출력
document.write("heigth" in person) // false 출력
in 연산자 사용
"키" in 객체명
true
or false
의 값으로 출력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