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evel2 ] H-Index (정렬)

HMS·2023년 4월 18일
0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7


문제 설명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위키백과1에 따르면, H-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과학자의 H-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000편 이하입니다.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000회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citations return
[3, 0, 6, 1, 5] 3

입출력 예 설명

이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5편이고, 그중 3편의 논문은 3회 이상 인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2편의 논문은 3회 이하 인용되었기 때문에 이 과학자의 H-Index는 3입니다.

풀이

문제를 이해하는게 너무 어려웠다..
h-index는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인 h를 구하는 지표다
{ 9,8,7,6,5,4,3,2,1,0} 해당 과학자는 10편의 논문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h(0) 0번이상 인용된 논문은 10편이다
1번이상 인용된 논문 = 9편
.... 5번 이상 인용된 논문 = 5편 = h(5) -> H-index
6번 이상 인용된 논문 = 4편 < h(6)
7번 이상 인용된 논문 = 3편 ....
즉, 이처럼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라면 이것이 H-Index라고 할 수 있다.
{1000,999,888,777,666,555,444}
7번 이상 인용된 논문 7편 = 7편 이상 -> H-index
8번 이상 인용된 논문 8편 < 8편 미만

그럼 여기서 {1,1,0}는 얼마가 나와야할까?
이부분에 대해서 정확한 설명이 없어 많이 해멨던거 같다..
이 예제는 1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2편인 h(1) < 2 반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원소(인용 횟수)가 1이고, 나머지 원소들은 1 이하 인용되었다.
h개 이상 인용된 논문이 h개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답이된다.
그렇기 때문에 h-index는 1이 된다.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citations) {
        // 정렬 후 배열 에서 index 보다 큰 배열의 갯수 h를 계산 하고 index와 h가 일치하면 될것같다
        //원소 값은 점점 감소하고, 원소 값 이상인 것의 개수는 점점 감소
        int hindex = 0;

        Arrays.sort(citations);

        for (int i = 0; i < citations.length; i++) {
            if(citations[i] >= citations.length-i){
                idx = citations.length-i;
                break;
            }
        }

        return hindex;
    }

답은 정말 간단하다.
배열을 정렬하고
정렬된 배열의 인덱스를 증가시키면서 hindex를 찾는다

배열의 i번째 요소인 citations[i]가 citations.length - i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hindex 변수에 citations.length - i 값을 할당한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