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책으로 챗봇 구현을 더 공부하게 되었다.
구글링과 함께 더 깊게 알아보려 한다.
챗봇 사용도, 영향도 사전 조사
위의 사진은 2022-2032년의 챗봇 시장 규모를 예측한 표이다.
챗봇 시장 규모가 2032년에 49억 달러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프레시던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챗봇 시장 규모는 2022년 8억4,000만달러(1조1,000억원)에서 연평균 19.29% 성장해 2032년에는 49억달러(6조5,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챗봇의 필요성
챗봇 개발 프레임워크 추천 사이트
https://woebot.io/
: 챗봇을 통해 사용자의 기분을 분석
https://qnamaker.ai/
: 구조화된 문서를 기반으로 간단한 질의응답 챗봇을 몇 분만에 구현 가능
https://dialogflow.com/
: 챗봇 매니아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API. AI
https://rasa.com
: 대화 소프트웨어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
https://wit.ai
: 대화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제품을 쉽게 개발 가능
https://botpress.com/ko/
: 자연어 이해(NLU) 라이브러리와 작동하는 오픈 소스 대화형 AI 프로그램
https://www.luis.ai/
: 챗봇, 앱, IoT 장치들에 자연어 처리를 탑재한 머신러닝 기반의 서비스
http://bokit.ai
: 시각적 대화의 구현
챗봇의 구성 요소와 사용되는 용어들
인텐트 (Intent)
: 사용자가 챗봇에게 전달하는 목적 (의도)
ex) '영화 예매해줘' 에서의 인텐트는 'book_movie' 될 수 있음
ex) '노래 틀어줘' 에서의 인텐트는 'play_music' 될 수 있음
엔티티 (Entities)
: 수량, 부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한 개의 인텐트가 다수의 엔티티 보유 가능
ex) '영화 예매해줘' 에서 인텐트는 '표를 예매하는 것' 이고
'영화'가 엔티티에 해당될 수 있음
ex) ' 230 사이즈 신발을 찾아줘' 라는 인텐트에서는 두 개의 엔티티 가능함 (종류 : 신발 / 사이즈 : 230) > 종류와 사이즈가 엔티티가 됨
어터런스 (Utterances)
: 인텐트 (질문)에 대해 사용자가 다르게 말할 수 있는 여러 표현들
ex) '볶음밥 레시피를 알려줘' 에서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목적을 위해 다른 여러 방식들로 답변을 줄 수 있음
: 인텐트 1개에 최소 5개 최대 10개까지의 어터런스 보유하는 것 권장하지만 그 외의 값을 보유할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