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자
'this'는 인스턴스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이다.예를들어,생성자의 int형과 클래스 자체 선언한 변수가 구분이 안되기 때문에,아래와 같이 this를 활용하면 구분하기 용이하다.이와 같이 this. 를 넣어 클래스의 변수라는 것을 구분할 수 있다.
클래스는 서로 다른 여러 데이터형을 자유로이 조합하여 만들 수 있는 자료구조클래스형 변수를 사용할 때는 먼저 클래스형 변수를 만들고,그와 동시에 실체인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자바에서 배열 본체와 클래스 인스턴스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new식으로 생성한다는 공
증가연산자 ++가 앞에 놓이느냐 뒤에 놓이느냐에 따라 동작이 다르다.앞에 놓이면 식 전체를 평가하기 前에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시키고,뒤에 놓이면 식 전체를 평가한 後에, 피연산자 값을 증가시킨다.
기존 클래스에 무엇인가를 추가해서 새로운 클래스를 만드는 것 = 상속일반세트의 구성품을 토대로 몇가지를 더 추가해 고급세트를 만드는 것과 같다일반세트 : 꿀 1병고급세트 : 꿀 1병 + 항아리위와 같이 상속을 받게되면,고급세트는 클래스 선언을 할 때 아무런 내용을 안
public : 아무나 접근 가능private : 클래스 안에서만 접근 가능(외부 접근 불가)protected : 같은 패키지 안에서만 or 상속 받은 경우 접근 가능아무것도 없을 때 : 같은 패키지 접근 가능
2진법컴퓨터에서 데이터 표현에 사용2를 기반으로하는 숫자 체계2의 제곱수에서 빼서 얻은 2진수ex) 2진수 3의 2의 보수 : 11 -> 01예를 들어, 2진수 0101의 보수는 1011이다.1011은 2의 보수이면서 0101의 음수표현이므로, 2의 보수를 음수라고도
비트 연산자
(1) 인스턴스 필드(2) 인스턴스 메소드(3) 정적 필드(4) 정적 메소드여기서 오버라이딩이 가능한 건 '인스턴스 메소드'뿐이다.
Iterator는 자바에서 컬렉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요소를 순회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네릭 타입(Generic type)은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데이터 타입을 미리 정하지 않고,실행 시점에 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제네릭 타입을 사용하면 클래스나 메소드를 일반화하여, 다양한 데이터 타입에 대해 재사용할 수 있다.
enum(열거형)은 자바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타입 중 하나이. enum은 서로 관련 있는 상수 값을 정의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요일을 나타내는 상수를 정의할 때 enum을 사용할 수 있다. enum을 정의할 때는 enum 키워드를 사용하며, 각 상수 값을 나열한다. 상수 값은 모두 대문자로 작성하며, 값 사이에 쉼표(,)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각 ...
람다식
예제소스 MVC
싱글톤 Singleton
static 스태틱
이너클래스 Inner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