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ers_Hash_실패율

Kyungtaek Oh·2022년 1월 20일
0

[Programmers] Problems

목록 보기
11/66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실패율

문제 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입출력 예

N stages result
5 [2, 1, 2, 6, 2, 4, 3, 3][3,4,2,1,5]
4 [4,4,4,4,4][4,1,2,3]

예시 설명

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1 번 스테이지 실패율 : 1/8
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2 번 스테이지 실패율 : 3/7
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3 번 스테이지 실패율 : 2/4
4번 스테이지 실패율 : 1/2
5번 스테이지 실패율 : 0/1
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

정답: [3,4,2,1,5]

Code

def solution(N, stages):
    
    #도달한 최종 스테이지당 인원 수 나타내는 dict 
    arv_dic = {id: 0 for id in range(1,N+2)}
    #해당 스테이지를 통과한 모든 인원 수 dict
    stay_dic = {}
    
    #각각 스테이지를 돌면서 arv_dic에 최종 스테이지에 인원 수 저장
    for x in stages:
        arv_dic[x] += 1

    fail_dic = {}
    temp = len(stages)
    #스테이지 1부터 N까지 돌면서 해당 스테이지를 통과했는지 차례로 stay_dic 에 저장
    for i in range(1,N+1):
        stay_dic[i] = temp
        temp -= arv_dic[i]
        if stay_dic[i] == 0: #만약 해당 스테이지 통과자가 없다면 0으로 저장, (0으로 나눌 수는 없음)
            fail_dic[i] = 0
        else:
            fail_dic[i] = (arv_dic[i]/stay_dic[i]) #실패확률을 스테이지별로 fail_dic에 저장
    
    # 실패확률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 형태로 정답을 return. (만약 실패확률이 같다면, 낮은 스테이지 부터 저장해줌)
    return sorted(fail_dic, key = lambda x:(-fail_dic[x],fail_dic)) 

코드 풀이

  1. 각각 스테이지를 돌면서 arv_dict에 최종 스테이지에 인원 수 저장한다.
  2. 스테이지 1부터 N까지 돌면서 해당 스테이지를 통과했는지 차례로 stay_dic 에 저장한다.
    2-1. 실패확률을 스테이지별로 fail_dic에 저장한다.
    2-2. 만약 해당 스테이지 통과자가 없다면 0으로 저장한다.(0으로 나눌 수는 없음)
  3. sorted() 함수를 이용하여, 실패확률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 형태로 정답을 return. (만약 실패확률이 같다면, 낮은 스테이지 부터 저장해줌)

Output & Screen Shot

더 나은 코드

def solution(N, stages):
    result = {}
    denominator = len(stages)
    for stage in range(1, N+1):
        if denominator != 0:
            count = stages.count(stage)
            result[stage] = count / denominator
            denominator -= count
        else:
            result[stage] = 0
    return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
*출처 프로그래머스 정답들 중

설명

count()함수를 이용하여 리스트 안에 해당 숫자가 몇개있는지 구하였다. 내가 작성한 코드와 유사한 사고방식이지만 코드의 복잡성이 줄고 간결하며 효율성은 극대로 올라간다. 앞으로 리스트에서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작성해 보아야겠다.

profile
Studying for Data Analysis, Data Engineering & Data Scienc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