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게 보는 리눅스 명령어

강희도·2023년 8월 19일
0
post-thumbnail

위에 사진은 터미널을 실행 시킨 모습이다. 여기서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해 리눅스 작업을 진행할 곳이다. 빨간 네모 모양안에 적힌 글자가 있다. 위의 글자를 해석해보면

  • user1 : 사용자 계정 이름
  • myubunt : 호스트의 이름 즉 서버를 의미한다.
  • ~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뜻한다.
  • $ : 해당 표시는 일반 사용자를 뜻하며 #은 관리자를 뜻한다. 이는 배시셀이 기본적으로 지정을 한 것이고 프롬프트는 사용자가 다른 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롬프트 종료

  • exit : 명령어를 이용한 사용자 접속 해제
  • ctrl + d : 단축키를 이용한 접속 해제

명령행 편집

  • backSpace, ← : 기본적으로 윈도우, 맥OS 와 다를 것이 없다. 그냥 평소대로 지우면 된다.
  • Ctrl + w : 한 단어를 지운다. 단어의 기준은 스페이스(공간)을 기준으로 한다.
  • Ctrl + u : 한 행을 지운다.

명령어 구조

리눅스의 명령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명령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뒤에 나오는 옵션과 인자는 필수 조건이 아니다. 하지만 순서는 잘 지키야한다.

명령 [옵션][인자]

  • 명령 : 리눅스를 상요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어 들이다. ls, date, man, mv … 등 매우 많다.
  • 옵션 : 옵션은 명령을 보다 세부적으로 내릴 수 있다. 명령에 따라 옵션이 다를 수도 있다.
  • 인자 : 명령으로 전달되는 값이다. 주로 파일명이나 디렉터리명이 사용된다. 명령에 따라 인자도 다르므로 사용법을 찾아봐야 한다.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들

  • date : 현재 년 : 월 : 일 : 요일 : 시 : 분 : 초 가 출력이 된다.
  • clear : 현재 보이는 명령어 창을 깨끗이 지운다.
  • man : man [명령] 형태로 사용하며 해당 명령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 password : password [인자] 형태로 사용하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변경할 비밀번호를 두번 물어보는데 이떄 화면에는 글자가 안보이니 주의하자
profile
제가 올리는 글에서 잘못되거나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 피드백을 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게 여기고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