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차에는 웹개발 강의 4주차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했다.
FrontEnd
눈에 보이는 부분이며 클라이언트쪽을 다룬다.
(Html, CSS, JavaScript)
BackEnd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며 서버쪽을 다룬다.
(Server, API, DB)
파이어베이스(Firebase)는 구글(Google)이 개발한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이다. 백엔드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관리하는 복잡한 작업 없이 핵심 기능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잘 찾으려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여러사람들이 관리하는 데이터의 모음이다.
데이터 베이스에 종류는 다음 두가지로 나뉜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SQL)
정리된 정보를 다룰 때 사용한다. (은행, 대기업)
비관계형 데이터 베이스(NoSQL)
복잡하거나 유연한 정보를 다룰 때 사용한다.(스타트업)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유형은 다른 용도와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구조와 요구 사항에 맞춰서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글의 클라우드(cloud)기반 NoSQL 데이터베이스이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컬렉션(Collection): 여러 개의 문서들은 특정한 주제 또는 유형으로 그룹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albums"이라는 컬렉션 안에는 문서들이 저장될 수 있다.
- 문서(Document): 문서는 여러 개의 필드(Field)로 구성되어 있다. 필드는 문서에 저장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 필드(Field): 문서 안에 있는 데이터의 작은 부분이다. 각 필드는 값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문서의 필드로는 "내용", "날짜", "이미지주소", “제목” 등이다.
자바스크립트로 firebase 데이터 추가하기
$("#id").click(async function () {
let doc = {};
await addDoc(collection(db, "콜렉션이름"), doc);
})
자바스크립트로 firebase 데이터 읽기
let docs = await getDocs(collection(db, "콜렉션이름"));
docs.forEach((doc) => {
let row = doc.data();
console.log(row);
});
이번 시간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올 때 간단하게 데이터를 읽고 추가하는 경우에 적합한 firebase를 배울 수 있었다. 리액트로 쓸때는 어려웠는데 제이쿼리를 통해 자바스크립트로 활용해 보니까 비교적 쉽고 재밌게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