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 웹개발 종합반 둘째 날 일지(1-12~16)

박지환·2022년 3월 24일
0

Javascript

브라우저에 적용되는 언어

배울 내용

  • 변수, 자료형, 함수, 조건문, 반복문
  1. 변수

1) 선언

let 변수 = 값(숫자, '문자')
변수명은 알아보기 쉽게
대소문자 또는 언더하이픈 사용

2) 리스트, 딕셔너리

=> 반복되는 정보를 깔끔하게 정리하여 활용할 수 있음

ⓐ 리스트

let a_list = []  // 리스트를 선언. 변수 이름은 역시 아무렇게나 가능!

// 또는,

let b_list = [1,2,'hey',3] // 로 선언 가능

b_list[1] // 2 를 출력
b_list[2] // 'hey'를 출력

// 리스트에 요소 넣기
b_list.push('헤이')
b_list // [1, 2, "hey", 3, "헤이"] 를 출력

//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
b_list.length // 5를 출력코드를 입력하세요

ⓑ 딕셔너리

let a_dict = {}  // 딕셔너리 선언. 변수 이름은 역시 아무렇게나 가능!

// 또는,

let b_dict = {'name':'Bob','age':21} // 로 선언 가능
b_dict['name'] // 'Bob'을 출력
b_dict['age'] // 21을 출력

b_dict['height'] = 180 // 딕셔너리에 키:밸류 넣기
b_dict // {name: "Bob", age: 21, height: 180}을 출력코드를 입력하세요

ⓒ 리스트, 딕셔너리 조합

names = [{'name':'bob','age':20},{'name':'carry','age':38}]

// names[0]['name']의 값은? 'bob'
// names[1]['name']의 값은? 'carry'

new_name = {'name':'john','age':7}
names.push(new_name)

// names의 값은? [{'name':'bob','age':20},{'name':'carry','age':38},{'name':'john','age':7}]
// names[2]['name']의 값은? 'john'
  1. 함수

크롬의 개발자도구 - console 탭에서 코드를 테스트
함수는 하나하나 쓰고, 이어나가면서 확장한다

특정 조건에서 일정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는 코드

  • 함수 만들기
// 만들기
function 함수이름(필요한 변수들) {
	내릴 명령들을 순차적으로 작성
}
// 사용하기
함수이름(필요한 변수들);코드를 입력하세요
  • 예시
// 두 숫자를 입력받으면 더한 결과를 돌려주는 함수
function sum(num1, num2) {
	console.log('num1: ', num1, ', num2: ', num2);
	return num1 + num2;
}

sum(3, 5); // 8
sum(4, -1); // 3
  1. 조건문
  • AND 조건과 OR 조건문
// AND 조건은 이렇게
function is_adult(age, sex){
	if(age > 20 && sex == '여'){
		alert('성인 여성')
	} else if (age > 20 && sex == '남') {
		alert('성인 남성')
	} else {
		alert('청소년이에요')
	}
}

// 참고: OR 조건은 이렇게
function is_adult(age, sex){
	if (age > 65 || age < 10) {
		alert('탑승하실 수 없습니다')
	} else if(age > 20 && sex == '여'){
		alert('성인 여성')
	} else if (age > 20 && sex == '남') {
		alert('성인 남성')
	} else {
		alert('청소년이에요')
	}
}

is_adult(25,'남')
  1. 반복문
for (let i = 0; i < 100; i++) {
	console.log(i);
}
for (1. 시작조건; 2. 반복조건; 3. 더하기) {
	4. 매번실행
}

1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와 같은 순서로 실행됩니다.
i가 증가하다가 반복조건에 맞지 않으면, 반복을 종료하고 빠져나옵니다.
  1. 마치며

아직은 자바스크립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와닿지가 않는다.
강의 진도를 더 나가면서 실제로 적용해봐야 할 것 같다.

*css 코드 찾는 곳
mdn, w3schools

profile
시작은 창대하나 끝은 미약하리라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