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필수 개념 및 명령어

김상훈·2023년 11월 13일
0

Linux

목록 보기
1/14

필수 개념 및 명령어

종료

$ shutdown -p now
$ halt -p now
$ init 0

시스템 재부팅

$ shutdown -r now
$ reboot
$ init 6

로그아웃

$ logout
$ exit

가상 콘솔

  • 가상의 모니터라고 생각하면 됨
  • 각각의 가상 콘솔로 이동하는 단축키는 Ctrl + Alt + F3 ~ F6

Runlevel

RunlevelEng-modDescNote
0Power Off종료 모드
1Rescue시스템 복구 모드단일 사용자 모드
2Multi-User사용하지 않음
3Multi-User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4Multi-User사용하지 않음
5Graphical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6Reboot

예시

$ ln –sf /lib/system/system/multi-user.target /etc/systemd/system/default.target
  • Runlevel n으로 부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설정 파일

    • default.target이 multi-user.target을 참조해 부팅하도록 함

자동 완성과 히스토리

  • 자동 완성: Tab 키 활용
  • 히스토리: history

vi 기능 요약

명령 모드 -> 입력 모드

  • i: 현재 커서 위치부터 입력
  • a: 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 칸부터 입력
  • I: 현재 커서 줄의 맨 앞에서부터 입력
  • A: 현재 커서 줄의 맨 뒤부터 입력

명령 모드에서 커서 이동

  • h: 왼쪽
  • k: 위
  • j: 아래
  • l: 오른쪽

명령 모드에서 삭제, 복사 붙여넣기

  • x: 현재 커서가 위치한 글자 삭제
  • X: 현재 커서가 위치한 앞 글자 삭제
  • dd: 현재 커서의 행 삭제
  • number + dd: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삭제
  • yy: 현재 커서가 있는 행을 복사
  • number + yy: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을 복사
  • p: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후에 붙여넣기
  • P: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전에 붙여넣기

Mount

  • 보조기억장치나 파일 시스템이 다른 디스크를 /의 하위 디렉터리로 연결해서 사용해주는 것
  • 요즘은 Plug and Play 기능이 있어 자동으로 등록하지만, 서버 환경에서는 없는 경우도 많음
$ mount [option] [device] [directory]

기본 명령어

  • ls: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목록을 나열
  • cd: 디렉터리 이동
  • pwd: 현재 디렉터리 전체 경로
  • rm: 삭제
  • cp: 복사
  • touch: 크기가 0인 파일 생성
  • mv: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위치 이동
  • mkdir: 새로운 디렉터리 생성
  • rmdir: 디렉터리 삭제
  • cat: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 출력
  • head, tail: 앞 10행 또는 뒤 10행 출력
  • more: 텍스트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
  • less: more와 용도가 비슷하지만 확장된 기능
  • file: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 출력
  • clear: 명령창 클리어

사용자와 그룹

  • 리눅스는 Multi-User system
  • root라는 이름을 가진 Superuser가 있으며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
  • 모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 있음
  • 사용자는 /etc/passwd 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etc/shadow 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 그룹은 /etc/group 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 /etc/skel 디렉터리는 사용자가 처음 생성되면 기본으로 포함해야 할 정보를 가짐

사용자와 그룹 관련 명령어

  • useradd: 새로운 사용자 추가
  • passwd: 사용자의 비밀번호 지정 또는 변경
  • usermod: 사용자의 속성 변경
  • userdel: 사용자 삭제
  • change: 사용자의 암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설정
  • groups: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보여줌
  • groupadd: 새로운 그룹 생성
  • groupmod: 그룹 속성 변경
  • groupdel: 그룹 삭제
  • gpasswd: 그룹 암호 설정 또는 그룹 관리 수행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와 허가권

파일 유형

  • 일반 파일 (-)
    •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주로 사용
    •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 Directory (d)
    •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 또는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 저장
  • 링크 파일 (l)
    • 원본 파일을 대신해서 원본 파일을 다른 파일 이름으로 지정한 것
  • 특수 파일
    • 블록형 장치 파일 (b)
    • 문자형 (c)
    • 파이프 (p)
    • 소켓 (s)

파일 허가권

  • 3개씩 끊어서 읽음
    • 첫 번째는 User의 파일 접근 권한
    • 두 번째는 Group의 파일 접근 권한
    • 세 번째는 그 외 사용자의 파일 접근 권한
  • 8진수 숫자로도 표현 가능
  • chmod: 파일 허가권 변경 명령어

파일 소유권

  •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와 그룹을 의미
  • chown/chgrp: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

INODE

  • inode는 리눅스/유닉스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여러 정보를 가지고 있음
  • 모든 파일이나 디렉터리는 한 개의 inode를 가지며 inode에는 파일의 소유권, 허가권, 파일 종류 등의 정보와 해당 파일의 실제 위치가 있음
  • inode들이 모여있는 공간을 inode 블록이라고 함

링크

  • 파일의 링크에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 (또는 소프트 링크) 두 가지가 있음
  • 하드 링크를 생성하면 하드 링크 파일만 하나 생성되며 같은 inode를 사용
  • 소프트 링크를 생성하면 새로운 inode를 만들고 데이터는 원본 파일을 연결하는 효과

RPM (Redhat Package Manager)

  • Windows의 "setup.exe"와 비슷한 설치 파일
  • 확장명은 .rpm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름
# U는 설치, v는 설치 과정, h는 설치 시 진행도를 #으로 표현하는 옵션

$ rpm -Uvh PACKAGENAME
  • RPM은 포로그램을 설치할 때 의존성이 있는 선행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게 단점

DNF (Danifired YUM)

  • RPM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해결
  •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파일을 Repository에서 자동으로 다운로드해서 설치

작동 방식 설정 파일

  • /etc/yum.conf: 특별히 변경할 필요 없음
  • /etc/yum.repos.d/ 디렉터리: dnf 명령을 입력했을 때 검색하게 되는 네트워크의 주소가 들어 있는 여러 개의 파일이 있음
  • /etc/yum.repos.d/ 디렉터리의 .repo 파일: 패키지를 받아올 위치를 결정

파일 압축과 묶기

파일 압축

  • 압축 파일 확장명은 xz, bz2, gz, zip, Z 등
    • xz나 bz2 압축률 좋음

파일 압축 관련 명령

  • xz: xz로 압축을 하거나 해제
  • bzip2: bz2로 압축을 하거나 해제
  • gzip: gz로 압축을 하거나 해제

파일 묶기

  • 리눅스나 유닉스에서는 파일 압축과 파일 묶기는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수행
  • 파일 묶기의 명령어는 tar이며 묶인 파일의 확장명도 .tar

파일 묶기 명령

  • 확장명 tar로 묶음 파일을 만들어 주거나 묶음을 풀어줌
    • 동작: c(묶기), x(풀기), t(경로 확인)
    • 옵션: f(파일), v(과정 보이기), J(tar + xz), z(tar + gz), j(tar + bz2)

파일 위치 검색

# 기본 파일 찾기

$ find [경로] [옵션] [조건] [action]

Cron과 At

Cron

  •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
  • 관련된 데몬은 crond, 관련 파일은 /etc/crontab

at

  • cron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예약하는 것이지만 at은 일회성 작업을 예약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nmtui: 네트워크와 관련된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
    • 자동 IP 주소 또는 고정 IP 주소 사용 결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 DNS 정보 입력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네트워크 장치 (ens160) 설정
    • 텍스트 기반으로 작동
  • nslookup: DNS 서버의 작동을 테스트하는 명령어
#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한 후에 변경된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시키는 명령어

$ systemctl [start/stop/restart/status] NetworkManager
# 네트워크 장치를 On 또는 Off 시키는 명령어

$ ifup [장치 이름]
$ ifdown [장치 이름]
# 장치의 IP 주소 설정 정보를 출력

$ ifconfig [장치 이름]
# 해당 컴퓨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응답하는 지를 테스트하는 명령어

$ ping [IP 주소 또는 URL]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주요 파일

  • /etc/sysconfig/network: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60: ens 장치에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가 있는 파일
  • /etc/resolv.conf: DNS 서버의 정보 및 호스트 이름이 있는 파일
  • /etc/hosts: 현 컴퓨터의 호스트 이름 및 FQDN이 있는 파일
  • 위 네 개 파일을 직접 편집하면 nmutui들 사용하지 않아도 됨

Pipe, Filter, Redirection

Pipe

  • 두 개의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연결 통로
  • "|" 문자 사용
$ ls -l /etc | more

Filter

  • 필요한 것만 걸러주는 명령어
  • grep, tail, wc, sort, awk, sed 등
  • 주로 파이프와 같이 사용
$ ps -ef | grep bash

Redirection

  • 표준 입출력의 방향을 바꿔줌
  • ">" 문자 사용
$ ls - l > list.txt

Process, Daemon

  • Process: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실행코드가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된 것
  • Daemon: 유닉스(Unix) 운영체제에서 부팅 시 자동으로 켜져,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는 프로세스
  • Foreground process
    • 실행하면 화면에 나타나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프로세스
    •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
  • Background process
    • 실행은 되었지만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고 실행되는 프로세스
    • 서버 데몬 등
  • Process number: 각각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고유 번호
  • 작업 번호: 현재 실행되고 있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순차 번호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음
  • 부모 프로세스를 kill 하면 자식 프로세스도 자동으로 kill 됨

프로세스 관련 명령

  • ps: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 kill: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는 명령어
  • pstree: 프로세스의 관계를 트리 형태로 보여줌

Service, Socket

Service

  • 시스템과 독자적으로 구동되어 제공하는 프로세스
    • 웹 서버, DB 서버, FTP 서버 등
  • 실행 및 종료는 대개 "systemctl start/stop/restart SERVICENAME"으로 사용됨
  • 서비스의 실행 스크립트 파일은 /usr/lib/systemd/system/ 디렉터리에 SERVICENAME.service 라는 이름으로 확인할 수 있음

Socket

  • 서비스는 항상 가동되지만 소켓은 외부에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systemd가 구동시킴
  • 요청이 끝나면 소켓도 종료됨
  • 소켓으로 설정된 서비스를 요청할 때는 처음 연결되는 시간이 서비스에 비교했을 때 약간 더 걸릴 수 있음
    • systemd가 서비스를 새로 구동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기 대문
  • Telnet 서버 등
  • 소켓과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은 /usr/lib/systemd/system/ 디렉터리에 SOCKETNAME.socket 이라는 이름으로 존재

GRUB 부트로더

  • 부트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해 부팅할 수 있음
    • 즉, 부트 정보가 올바르지 않더라도 수정하여 부팅할 수 있음
  • 다른 여러 가지 운영체제와 멀티부팅 가능
  • 대화형 설정을 제공
  • 비밀번호 분실 시 GRUB 부트로더로 해결 가능

모듈의 개념과 커널 컴파일의 필요성

  • 모듈: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되는 코드

IDE, SATA, SCSI

  •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가 물리적으로 나눠진 것을 /dev/sda, /dev/sdb, /dev/sdc, ... 형식으로 부름
  • 디스크 파티션이 논리적으로 나눠진 것을 /dev/sda1, /dev/sda2, /dev/sda3, ... 형식으로 부름

IDE (Intergrated Drive Electronics)

  • 일반적인 메인보드에서 지원되는 하드디스크
  • ODD 등의 장치들의 인터페이스를 총칭

ATA (Adavanced Technology Attachment)

  • CD-ROM 드라이브나 하드디스크 장치 등을 IDE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규격, 연결 방식
  • PATA: Parallel ATA
  • SATA: Serial ATA

SCSI (Small Computing System Interface)

  • 서버 환경이나 워크스테이션 등에 주로 이용되는 장치
    • 빠른 RPM
    • 빠른 전송률
    • 긴 수명
    • 안정적 데이터 보존률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 파티션을 그냥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특정한 디렉터리에 마운트 시켜야 사용 가능
  • fdisk: 파티션을 나눠주는 명령어
  • Partition Type
    • Primary Partition
      •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티션
      • 1 ~ 4개 까지 생성 가능
    • Extended Partition
      • 실제 데이터 저장이 불가능한 파티션
      • 파티션 테이블 영역을 확장하는 용도
      • 파일 시스템 및 마운트 지정 불가능
      • 단 한 개의 파티션만 생성 가능
    • Logical Partition
      • 데이터 저장은 가능하나 운영체제 설치 불가
      • 확장 영역의 크기 내에서 분할해서 사용 가능
  • mkfs: 파티션을 원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는 명령어
  • fdisk를 사용한 파티션 분할, mkfs로 디스크 포맷까지 완료했다면 mount를 통해 사용 가능하도록 등록해야 함 (디렉터리 생성 후 mount)
    • mount 후 /etc/fstab 파일에 설정으로 입력해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있을 수 있도록 함

RAID

  •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방식
  •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로 구분
  • 비용 절감 + 신뢰성 향상 + 성능 향상의 효과
  • mdadm: RAID 생성

각 RAID 방식의 비교

Linear RAID

  • 최소 두 개의 하드디스크가 필요
  • 두 개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한 개의 볼륨으로 사용
  • 앞 디스크부터 차례로 저장
  • 100%의 공간 효율성 (비용 저렴)

RAID 0

  • 최소 두 개의 하드디스크가 필요
  • 모든 디스크에 동시에 저장됨
  • 100%의 공간 효율성 (비용 저렴)
  • 신뢰성 낮음
  • 빠른 성능을 요구하되 전부 잃어버려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자료가 적당

RAID 1

  • Mirroring이라고 부름
  • 데이터 저장에 두 배의 용량이 필요
  • Fault-tolerance 제공 (신뢰성 높음)
  • 공간 효율 나쁨
  • 저장 속도, 성능은 변화 없음

RAID 5

RAID5

  • RAID 1의 안정성, + RAID 0의 공간 효율성
  • 최소 세 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 오류가 발생했을 때는 Parity를 이용해 데이터 복구
  • 디스크 개수 - 1의 공간을 사용
  • 어느 정도 결함을 허용해 주면서 공간 효율이 좋음

RAID 6

  • RAID 6 방식은 RAID 5 방식이 개선된 것
  • 공간 효율은 RAID 5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두 개의 디스크가 동시에 고장나도 데이터에는 이상이 없도록 함
  • 최소 네 개의 하드디스크 필요
  • 공간 효율, 성능은 RAID 5보다 약간 떨어지는 반면에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는 좀 더 높아지는 효과

RAID 10

  • 최소 네 개의 하드디스크 필요
  • 두 개의 디스크를 RAID 0으로 묶어 용량을 늘리고, 각 pair를 또 묶어서 복제본을 만듦
  • 신뢰성과 성능을 모두 잡을 수 있지만, 디스크의 낭비가 발생

LVM (Logical Volumn Manager)

  • 하드디스크를 통합한 뒤 논리적인 크기로 분할하는 기법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한 개의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

구성

  • Physical Volume: /dev/sda1, /dev/sdb1 등의 파티션
  • Volume Group: 물리 볼륨을 합쳐서 한 개의 물리 그룹으로 만드는 것
  • Logical Volumn: 볼륨 그룹을 한 개 이상으로 나눠서 논리 그룹으로 나눈 것

Shell

  • 사용자와 커널 중간에서 사용자에게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bash

  • 기본 Shell은 bash (Bourne Again Shell)

특징

  • Alias 기능 (명령어 단축 기능)
  • History 기능
  • 연산 기능
  • Job Control 기능
  • 자동 이름 완성 기능
  • 프롬프트 제어 기능
  • 명령 편집 기능

Shell의 명령문 처리 방법

  • 명령어 [옵션] [인자]
# 예시

$ rm -rf /mydir

환경 변수

  • echo $환경변수이름 으로 확인 가능
  • export 환경변수=값 으로 환경 변수 값을 설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