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상에 원소를 연속하게 배치한 자료구조
| 0 | 1 | 2 | 3 | 4 | 5 |
|---|---|---|---|---|---|
| 5 | 7 | 6 | 2 | 9 | 1 |
cache hit rate
- 캐시 메모리(주로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며, 빠른 접근 속도를 제공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에서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메모리 액세스 요청의 백분율
| 연산 | 시간복잡도 |
|---|---|
| 임의의 위치에 있는 원소 확인 및 변경 | O(1) |
| 원소를 끝에 추가 | O(1) |
| 마지막 원소를 제거 | O(1) |
| 임의의 위치에 원소를 추가 및 제거 | O(N) |
동적으로 크기가 조정되는 배열(List)을 구현한 자료구조
데이터 요소를 노드(Node)로 구성하여 저장하는 자료구조

| 단일 연결 리스트 | 이중 연결 리스트 | 원형 연결 리스트 |
|---|---|---|
![]() | ![]() | ![]() |
| 연산 | 시간복잡도 | 이유 |
|---|---|---|
| 임의의 위치에 있는 원소 확인 및 변경 | O(N) | 포인트가 각각 연결된 노드에 존재하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순회 |
| 임의의 위치에 원소를 추가 및 제거 | O(1) | 삽입이나 제거로 인해 다른 원소를 옮길 필요가 없이 연결된 주소값만 변경 |
공통점 : 선형 자료 구조
| 차이점 | 배열 | 연결리스트 |
|---|---|---|
| k번째 원소의 접근 | O(1) | O(k) |
| 임의 위치에 원소 추가/제거 | O(N) | O(1) |
| 메모리 상의 배치 | 연속 | 불연속 |
| 추가적으로 필요한 공간 (Overhead) | - | 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