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t를 공부하면서 실제 보드에서 쓰일 때 어떤 식으로 언어가 쓰이는지 보면 더 언어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분석해보았습니다.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분석한 예제는 간단한 blink 동작을 하도록 하는 예제입니다.문법을 보며 열심히 playg
이제 익숙한 main문을 볼 차례네요! main이라는 단어 말고는 아직 익숙한건 없긴 합니다ㅋㅋㅋ #[entry] 앞에서 언급했듯이, #![no_main] 속성이 있는 경우에는 #[entry] 속성을 이용하여 main의 역할을 할 프로그램 진입점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제 생성된 인스턴스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위 코드를 통해 flash, rcc, pwr이 다른 peripheral을 초기화하거나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생성한 인스턴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cc : reset and clockp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