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의 시작은 pom.xml부터. 프로젝트가 여러 의존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maven이라는 판떼기위에 jar를 가져다 씀. 스프링도 그중하나) jar를 등록해야 사용가능
우리프로젝트 웹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은 web.xml부터. context설정파일에 관한 것들이 이곳에 기록되있음.
root, servlet context(빈을 관리하는 단위)가 관리되고 있음. 필터들도 작성가능
root context는 datasource에 관한 bean을 관리. 빈태그로 등록
xml namespace의 기본설정
빈등록. xml에서 할수도 있지만 @(annotation) component로 등록할수도 있음.
이렇게 가져다쓰려고 빈을 등록하는 것
@controller @repository @service는 xml에 bean태그 등록안하고도 잘됨.
component-scan이 그 일을 하기 때문.
spring-bean 패키지 수업내용 참고. 빈으로 등록해서 spring container에게 관리를 맡기는 것.
type핸들러가 필요할경우 -> 기본적으로 mybatis가 타입변환을 못해주는 경우
기본적인 처리를 할때는 타입핸들링이 필요가 없음.
이경우도 기본적인 처리에 속함. 자동으로 형변환 됨.
이때는 타입핸들링이 필요함.
커스텀타입핸들러를 작성하고 등록하면 됨.
이런식으로 등록. 일일히 지정할수도 있고 패키지로 등록할수도 있음
mybatis가 contents 영역은 지원함.
RowBounds객체가 대신해줌. 대신 아래 두개의 값을 필요로 함.
offset : 몇개를 건너뛸거냐
limit : 한페이지당 게시물 수
예시
page1 offset : 0, limit : 10 -> 0개를 건너뛰고 10개를 표시해라
page2 offset : 10, limit : 10 -> 10개를 건너뛰고 10개를 표시해라
page3 offset : 20, limit : 10 -> 20개를 건너뛰고 10개를 표시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