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D 취득 후기 (복수전공자)

김동우·2024년 7월 1일
0

SQLD

목록 보기
5/5

제 53회 SQL 개발자(SQLD) 자격증 시험 합격 후기를 작성하려 합니다. 이번 학기에 '데이터처리시스템' 과목을 수강하면서, SQL을 배우는 김에 자격증도 취득하면 좋을 것 같아 시험에 응시하게 되었습니다.

공부 기간: 2024년 5월 6일부터 5월 25일까지 (주말은 휴식)
배경 지식: 3월 2주차부터 데이터베이스 관련 과목 수강

시험 총평: 전공자나 SQL을 접해본 사람에게는 무난히 합격할 수 있는 난이도지만, 비전공자나 노베이스 에게는 결코 만만한 시험이 아닌듯 합니다.

공부한 자료
1. 해커스 [2024 개정] 속전속결! 한번에 합격하는 SQLD
2.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SQL 전문가 가이드(2013)
3. 해커스 노랭이

1. 준비 기간 및 배경지식

SQLD 시험 자체에 대한 준비는 5월 6일부터 5월 25일까지지만, 이번 학기(3월) 데이터베이스 수업을 들으면서 MySQL과 SQLite3의 쿼리 작성 방법, 데이터베이스와 SQL의 전반적인 이해, 그리고 트랜잭션 부분까지 이미 충분히 학습한 상태였습니다.

2. 준비 방법

학교 사업단에서 자격증 응시료와 온라인 강의를 지원해주었기 때문에, 해커스의 [2024 개정] 속전속결! 한번에 합격하는 SQLD 강의를 들으며 시험 준비를 했습니다. 하지만 PPT 자료가 다소 부실했기 때문에, 주로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의 SQL 전문가 가이드(2013)를 기반으로 작성된 K-data DATA ON-AIR SQLD 자료SQLD 자료(클릭)를 읽었습니다.

전공자이거나, SQL 등을 활용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수업을 수강한적이 있다면, 유료강의는 들을 필요 없습니다. 개념에 대한 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대부분 겹치며 리마인드 한다는 느낌입니다.

하루에 2~3시간 정도를 투자하여 온라인 강의, DATA ON-AIR, 요약본을 활용해 제 1과목을 준비했습니다. 제 2과목도 마찬가지로 강의를 듣고 DATA ON-AIR와 요약본을 통해 공부했습니다.

추천하는 방법

제 체감상, SQLD 시험 준비에는 기출문제를 빨리 푸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것 같습니다. 이론 부분을 빠르게 1회독한 후, 바로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론이 완벽히 정립되지 않았더라도, 기출문제를 풀면서 자신이 아는 부분과 모르는 부분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SQLD는 문제은행 방식이기 때문에, 기출문제 풀이가 큰 도움이 됩니다.

추천 자료

문제 풀이에는 해커스 노랭이를 추천합니다.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는 다른 자료들보다 난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저는 시험 전까지 시간 분배를 잘하지 못해 기출 문제를 4일 정도 풀고 시험장에 갔습니다. 처음 노랭이를 풀었을 때는 절반도 맞추지 못했습니다. 제 1과목과 제 2과목 모두 이 책이 실제 시험보다 더 어려웠습니다. 이 책을 풀면서 어려운 문제를 많이 접해보니, 실제 시험에서는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졌습니다.

해커스 노랭이는 신버전과 구버전이 있습니다!
신버전과 구버전의 차이는 SQLD가 개정되면서 주관식 문제가 객관식 문제로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교재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주관식 문제가 객관식 문제로 변경되었습니다.

저는 신버전으로 공부했는데, 신버전에는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유튜브에 있는 해커스 노랭이 해설 강의가 모두 구버전 기준으로 되어 있어 신버전에서는 해설 강의를 참고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번호가 달라서 똑같은 문항 찾는게 번거롭습니다. 이 점을 유의하시면 좋겠습니다.

참고 자료

profile
블로그 이전 했습니다. https://dongwookim4343.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