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Architecture] Cache Locality

Bik_Kyun·2022년 5월 8일
0
post-thumbnail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 주기억장치에서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해두어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는 메모리.
    그러므로 캐시는 주기억장치보다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다.
    캐시 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옮기는 것을 사상(Mapping, 매핑)이라고 한다.

참고
Mapping의 3가지 방법

  • 직접 매핑(Direct Mapping)
    주기억장치의 블록들이 지정된 한 개의 캐시 라인으로만 사상될 수 있는 매핑 방법.
    간단하고 구현하는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캐시 적중률이 낮아질 수 있다.
  • 연관 매핑(Associate Mapping)
    직접 매핑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
    모든 태그들을 병렬로 검사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는 단점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집합 연관 매핑(Set Associate Mapping)
    직접 매핑과 연관 매핑의 장점만을 취한 방식.
  • 속도가 빠른 장치와 느린 장치간의 속도 차에 따른 병목현상을 줄이기 위한 범용 메모리.
    이를 위해서는 CPU가 어떤 데이터를 원하는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캐시 메모리에 CPU가 이후에 참조할, 필요 있는 정보가 어느 정도 들어있느냐에 따라 캐시의 성능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 주기억장치와 CPU사이에 위치
  • 메모리 계층 구조에서 가장 빠른 소자이며, 처리속도가 거의 CPU의 속도와 비슷할 정도의 속도를 가지고 있다.
  • 캐시메모리를 사용하면 주 기억장치를 접근하는 횟수가 줄어들어 컴퓨터의 처리속도가 향상
  • 캐시의 크기는 보통 수십 KByte ~ 수백 KByte

2. 캐시의 지역성(Locality)

  • 캐시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려면, 캐시의 적중율(Cache Hit rate)를 극대화 시켜야 한다.

참고

  • 캐시 적중(Cache Hit) : CPU가 액세스하려는 데이터가 이미 캐시에 적재되어있는 상태.
  • 캐시 미스(Cache Miss) : CPU가 액세스하려는 데이터가 캐시에 없어 주기억장치로부터 인출해 와야하는 상태.
  • 캐시 적중률(Cache Hit rate) :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있을 확률
    캐시에 적중되는 횟수 / 전체 기억장치 액세스 횟수
  • 미스율(Miss rate) :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없을 확률
    1-(Cache Hit rate)
  • 캐시에 저장할 데이터가 지역성(Locality)을 가져야 한다.
  • 지역성이란, 데이터 접근이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가깝게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 지역성의 전제 조건으로 프로그램은 모든 코드나 데이터를 균등하게 Access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기본으로 한다.
  • 즉, 지역성(Locality)이란
    기억장치 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Access하는 것이 아닌 어느 한 순간에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특성이다.

1) 시간적 지역성(Temporal Locality)

특정 데이터가 한번 접근되었을 경우, 가까운 미래에 또 한번 데이터에 액세스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특성.
메모리 상의 같은 주소에 여러 차례 읽기 쓰기를 수행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캐시를 사용해도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예) 반복 루프 프로그램이나 서브루틴들은 반복적으로 호출되며 공통 변수들도 빈번히 액세스 된다.

2)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기억장치 내에 서로 인접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연속적으로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특성.
CPU 캐시나 디스크 캐시의 경우 한 메모리 주소에 접근할 때 그 주소뿐 아니라 해당 블록을 전부 캐시에 가져오게 된다.
이때 메모리 주소를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접근한다면, 캐시에 이미 저장된 같은 블록의 데이터를 접근하게 되므로 캐시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예) table이나 배열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는 기억장치 영역은 그들에 대한 연산이 수행되는 동안에 집중적으로 액세스된다.

3) 순차적 지역성(Sequential Locality)

분기(branch)가 발생하지 않는 한, 명령어들은 기억장치에 저장된 순서대로 인출되어 실행된다.

profile
비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