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에서는 언리얼에서 C++과 하이레벨 OOP(C#, JAVA)의 장점을 모두 지원하는 언리얼 프로그래밍을 배운다.
Part 2에서는 게임을 제작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강의
[Unreal Engine] Unreal Engine 5 / Visual Studio C++ 개발 환경 설정 언리얼 엔진 5 개발 환경 설정 세팅
매크로 구문 이후 엔터를 누르면 정렬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편의를 위해 아래 확장자들을 설치해준다면 매크로 구문 후에도 정렬이 이쁘게 잘 된다.
한 번만 해두면 계속 적용 가능
Visual Commander 다운받고 확장자 적용
ue4-vs-extensions 다운받고
확장 -> VCmd -> Import
해당 파일 선택
Extensions 를 눌렀을 때, 빨간 원 처럼 되어있다면 성공
헤더파일 변경 -> 에디터를 끄고 컴파일
소스파일 변경 -> 라이브 코딩 컴파일 Ctrl + Alt + F11
가상 함수를 호출하는 경우 언리얼 엔진 내부적으로 부모의 가상 함수가 구현되어 있고 동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항상 부모의 함수를 호출해주도록 한다.
이 때 우리가 부모 클래스 이름을 다 칠 필요가 없이 Super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void UMyGameInstance::Init()
{
Super::Init();
}
UE_LOG(CategoryName, Verbosity, Format)
CategoryName
로그들을 분류할 때 분류 별로 볼 수 있다.
직접 지정할 수도 있고, 에픽 엔지니어들인 만든 카테고리들이 있다.
Verbosity
로그 수준으로 구별 (Log, Warning, Error 등으로 분류)
Format
TEXT("") 매크로를 이용하여 string 가능 (printf처럼 사용)
통일된 문자열을 다루기 위해서 TEXT 매크로를 사용한다.
UE_LOG(LogTemp, Log, TEXT("%s"), TEXT("Hello Unreal!"));
로드 시간을 줄이기 위해 그래픽스 관련된 부분 None으로 설정하고 새롭게 만든 MyGameInstance로 바꿔준다.
실행 후 log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