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에는 Boolean으로 결과가 나오는 비교구문이 들어간다.
if (조건1) {
// 조건1이 통과할 경우
} else if (조건2) {
// 조건1이 통과하지 않고
// 조건2가 통과할 경우
} else {
// 모든 조건이 통과하지 않는 경우
}
두가지 조건이 한번에 적용되는 경우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다.
//학생이면서, 여성일 때 통과
isStudent && isFemale;
// 학생이거나, 여성일 때 통과
isStudent || isFemale;
논리 연산자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논리 연산자 NOT
!false // true
!(3 > 2) // false
논리 연산자 OR
둘 중에 하나만 참이면 true값을 가진다.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true
false || true // true
false || false // false
논리 연산자 &&
둘다 참이여야만 true값을 가진다.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false
false && true // false
false && false // false
if문에서 false로 변환되므로, if구문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 if (false)
- if (null)
- if (undefined)
- if (0)
- if (NaN)
- if ('')
str[index]
let str = 'Coding';
console.log(str[0]); // 'C'
console.log(str[4]); // 'N'
console.log(str[10]); // undefined
index로 접근은 가능하지만 쓸 수는 없다.
str[0] = 'G';
console.log(str); // 'Coding' not 'Goding'
문자열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