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이론과 방법을 공부했다면
이제는 실무에서 사용할 기술을 배워보도록 하자.
박수 👏👏👏
intellij 에서 mysql 을 연동시키고 필요한 것을 추가해준다.
(연동 과정 생략)
🚸 코드에서 자세한건 나중에 알아보고 정리해서 링크로 남겨두도록 하겠다.
link : {empty}
그다음 https://start.spring.io 를 통해 필요한 Dependency
{
Spring Boot와 Mysql 을 연결하기 위한 기술로 JPA,
Connector로 mysqlDriver,
인메모리 데이타베이스(테스트용 메모리로 실제 DB에 영향이 끼치지 않게 하기위함이라고 한다) 로 H2 를 사용하겠다.
}
를 추가해보자.
그 다음
.properties -> .yaml 확장자 변환.
Spring Boot는 다른 환경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코드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을 외부화할 수 있다.
프로젝트에 외부에서 특정 값들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AWS나 외부 API를 사용하기 위한 secret key, API key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값들을 하드코딩하는 경우에는 보안에 취약하다.
따라서 이런 중요한 값들을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 의 외부 설정값을 관리하는 파일에 기록하여 사용한다. 즉, 두 파일 모두 외부 설정값 등을 관리하는 파일이다.
결론은 properties,yaml(=yml) 두개 모두 외부 설정값을 관리하는 파일이라는 것이다.
properties에서 사용한다면
spring.datasource.url=jdbc:h2:DB이름
spring.datasource.username=유저이름
spring.datasource.password=비밀번호
yaml에서 사용한다면
spring:
datasource:
url: jdbc:h2:DB이름
username: 유저이름
password: 비밀번호
yml 은 계층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어 편리하여 yml로 바꿔 사용하도록 했다.
🚸 이 코드또한 필요한 나중에 알아보고 정리해서 링크로 남겨두도록 하겠다.
link : https://velog.io/@kefa/Spring-Boot-Mysql-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