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속에 기술된 기호로 컴퓨터에서는 실행되지 않는 것.
프로그램이 특정한 스텝으로 설명을 붙이기도 하며, 메모를 위하여 쓰여진다.
주석은 컴파일시 코드 내용으로 인식되지 않고 무시되어 연산 결과에 반영되지 않아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사람이 코드를 봤을 때 이해하기 쉽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작성한다.
가독성을 위해 해주는 것이 좋다.
변수(variable)란?
계속 변하는 값이면서, 그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선언은 메모리 공간 할당을 의미한다.
1. 크기가 Data type(자료형)에 의해 결정
2.내용이 어떤 타입이 들어갈 것인지(int, float, double...)결정
변수 선언 예시 - 변수의 타입 + 변수의 이름
int num1;
float num2;
char ch;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int num1 = 1;
float num2 = 3.0;
boolean 1Byte (참/거짓)
char 2Byte (문자)
byte 1Byte (정수)
short 2Byte (정수)
int 4Byte (정수)
long 8Byte (정수)
float 4Byte (실수)
double 8Byte (실수)
int num;은 정수형 타입의 num이라는 변수를 선언한다는 것
이것은 int타입의 4byte만큼을 이 변수를 위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한다는 것이다.
즉, num 변수의 메모리 공간이 4byte만큼 확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모리 공간에 정수가 들어감)
데이터 타입에 맞춰서 표를 찾아 A(문자)->숫자 인코딩 / 숫자->A(문자) 디코딩 된다.
a = 97, A = 65 와 같이 1:1 매칭으로 약속되어있음 (표준)
"_"공백(sp) 32, 0=34, 1=3
ASK2코드, Unicode 표를 참고한다.
1. 인코딩
a 라는 문자가 char 타입이라 컴퓨터가 알아 들을 수 있도록 ASK2코드(유니코드)표를 참고해 이진수로 변환되어 컴퓨터(cpu)에 전달된다.
2. 디코딩
컴퓨터가 가진 이진수를 데이터 타입을 참고하여 같은 값을 가지고 있는 폰트를 찾아 화면에 출력한다.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아스키 코드는 1963년 미국 ANSI에서 표준화한 정보교환용 7비트 부호체계이다. 인쇄전신기(Teleprinter)[2]를 통한 전신(통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8비트 컴퓨터에서도 활용되어 오늘날 문자 인코딩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2의 보수는양수 2진수의 1의 보수를 구한 뒤 거기에 1을 더해 음수를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때 8비트를 넘어가는 맨 앞자리의 수는 전산적으로 버려주게 된다.
이진수의 1의보수는 비트를 반전시켜 얻을 수 있다. (0→1, 1→0)
1) 맨 앞에 부호 비트를 1비트 사용한다. (0 양수, 1 음수)
하지만, +25와 -25를 더했을 때 0이 나와야 하는데 부호 비트만 바꾸면 0이 나오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2의 보수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2) 2의 보수법 사용(1의보수 +1 :맨 앞은 자동으로 부호 비트가 맞춰짐)
-5의 2진수 값은 = '11111011'
<계산방법>
+5의 2진수 값 : 00000101
+5의 1의 보수 : 11111010
1을 더함(+5의 2의 보수): 11111011
실수는 두 실수 사이에는 무한대의 실수가 존재한다는 특성이 있다.
0과 1 사이에도, 0과 0.5 사이에도, 0과 0.1 사이에도 무한대의 실수가 존재한다.
하지만, 컴퓨터에 연산을 위해서는 무한한 실수를 유한한 메모리에 올리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수 전체를 다 담을 수 없기 때문에 실수의 범위를 정해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주고,
그 사이에 표현할 수 있는 값을 미리 지정해 두고 근사값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double (-10^324~10^308) 의 범위가 정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수에는 오차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정수를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과 실수를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이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정수와 실수의 데이터 타입을 나눌 수 밖에 없다.
고정소수점: 소수점이 고정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소수점을 사용하여 고정된 자리수의 소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정된 메모리에서 부동소수점 방식보다 좁은 범위의 수만 나타낼 수 있다.
부동소수점: 소수점이 떠다닌다는 의미이다.
고정 소수점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수점 숫자를 이진수로 변환한 다음 맨 처음 1 뒤로 소수점을 이동하는 정규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소수점이 말 그대로 '떠다니면서' 'float'(부동(不動)이 아니라 부동한다고 하여 부동소수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