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 코딩클럽 웹 개발 종합반이 2월 7일 개강했다. 맛보기가 아닌 완주를 목표로 수강하기 시작한 첫 번째 강의이다. 디자이너로 커리어를 시작하여 정신 차려보니 3년 째 워드프레스로 웹사이트를 만들고 있었고, CSS 와 잡다한 지식은 많이 늘었지만 사수 없이 일하다보니 프로젝트를 계속 해도 전혀 성장하지 못하는 기분이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커리어 전환을 결심하고 여러가지 계획을 세우고 첫 강의를 수강하기 시작하니 즐거워졌다. 매일 퇴근 후 지쳐서 유투브만 보던 때보다 훨씬 생산적인 일상을 보내고 있다.
PyCharm
은 Python 을 사용하기 편한 프로그램display: block
을 적용해야 한다background-size: cover / contain
✔️ 항상 헷갈리던 CSS 개념이었는데 이번 기회에 정리할 수 있었다.
cmd + option + L
: 코드 정렬 in PyCharm
cmd + /
: 코드 선택하고 누르면 주석으로 변경
✔️ VS Code 만 사용해보았는데 PyCharm 을 사용해보니 또 새롭고 단축키는 공통으로 사용 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는 듯 하다.
div
를 접어서 간단하게 만들어두자✔️ 버전이 계속 업데이트 되니 확인해야 한다
Console
탭은 HTML 파일의 script 코드와 이어지므로 파일 내에서 선언한 함수를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변수
는 값을 담는 박스“”
/ 작은 따옴표 ‘’
안에 문자열을 넣어야 한다let first_name = 'eunyoung'
let last_name = 'kim'
first_name+last_name
‘eunyoungkim'
✔️ 문자열과 숫자를 더하면 문자열 뒤에 숫자가 나온다
List 자료형
은 순서가 중요한 담기[]
안에 쉼표 ,
로 구분하여 작성한다let a_list = ['수박','참외','배']
a_list[0]
'수박'
a_list[1]
'참외'
a_list[2]
'배'
a_list.push('감')
Dictionary 자료형
은 해당 key 값에 대응 되는 value 값을 담는 것이다{}
와 기호 :
를 사용하고 값을 불러올 때는 괄호 []
를 사용한다let a_dict = {'name':'bob','age':27}
a_dict['name']
'bob'
a_dict['age']
27
a_dict['height'] = 180
a_dict
{name: 'bob', age: 27, height: 180}
✔️ 확실히 이 부분부터 잘 이해가 안 되기 시작했다
✔️ 처음 선언할 때는 {} 괄호를 사용하는데 왜 추가할 때는 [] 괄호를 사용할까?
✔️ 그래도 이 부분은 이 글을 작성하며 다시 읽어보니 이해가 되는 듯 하다
a_dict['fruits'] = a_list
(4) ['수박', '참외', '배', '감']
a_dict
{name: 'bob', age: 27, height: 190, job: 'female', fruits: Array(4)}
a_dict['fruits'][2]
'배'
%
는 나눗셈의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let a = 100
a % 8
4
서로의 값이 같다
는 것을 표현할 때는 ==
기호를 사용한다값이 서로 같지 않다
는 것을 표현할 때는 !=
기호를 사용한다let a = 100
a < 150
true
a > 200
false
a == 100
true
a != 100
false
split
은 어떤 문자열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는 함수이다let myemail = 'sparta@gmail.com'
myemail.split('@')
(2) ['sparta', 'gmail.com']
myemail.split('@')[1]
'gmail.com'
myemail.split('@')[1].split('.')
(2) ['gmail', 'com']
myemail.split('@')[1].split('.')[0]
'gmail'
함수
는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function mysum(num1, num2){
alert('안녕!')
return num1+num2
}
let result2 = mysum(2, 3)
result2
5
✔️ 이 부분도 조금 의문이었다
✔️ 변수를 선언한 단계에서 이미 alert
가 실행 된다
✔️ 이 부분은 조금 더 찾아봐야 이해할 수 있을 듯 하다
()
안에 아무것도 넣지 않아도 함수 실행이 가능하다alert
창이 연속으로 실행 된다if / else
구문let sex = '남성'
if (age > 20 && sex == '남성') {
console.log('성인 남성입니다')
} else {
console.log('청소년입니다')
}
성인 남성입니다
&&
는 양쪽 모두 조건을 만족한다는 뜻의 AND
의 기호이다||
는 양쪽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할 때 사용하는 OR
의 기호이다if / else if / else
구문을 사용한다if (age > 20) {
console.log('성인입니다')
} else if (age > 7) {
console.log('청소년입니다')
} else {
console.log('아동입니다')
}
for (let i = 0; i < 10; i++) {
console.log(i)
}
0
1
2
3
4
5
6
7
8
9
++
는 1 씩 추가하는 기호이다let people = ['철수','영희','민수','형준','기남','동희']
people.length
6
for (let i = 0; i < people.length; i++) {
console.log(people[i])
}
철수
영희
민수
형준
기남
동희
✔️ 또 궁금한 것이 생긴 부분
✔️ List 에 담긴 개수를 세는 함수 같은데 왜 length
라고 부를까?
let scores = [
{'name':'철수', 'score':90},
{'name':'영희', 'score':85},
{'name':'민수', 'score':70},
{'name':'형준', 'score':50},
{'name':'기남', 'score':68},
{'name':'동희', 'score':30}
]
scores[0]
{name: '철수', score: 90}
scores[1]
{name: '영희', score: 85}
scores[1]['score']
85
{}
를 사용한다for (let i = 0; i < scores.length; i++) {
console.log(scores[i])
}
{name: '철수', score: 90}
{name: '영희', score: 85}
{name: '민수', score: 70}
{name: '형준', score: 50}
{name: '기남', score: 68}
{name: '동희', score: 30}
for (let i = 0; i < scores.length; i++) {
let name = scores[i]['name']
let score = scores[i]['score']
console.log(name, score)
}
철수 90
영희 85
민수 70
형준 50
기남 68
동희 30
for (let i = 0; i < scores.length; i++) {
let name = scores[i]['name']
let score = scores[i]['score']
if (score < 70) {
console.log(name, score)
}
}
형준 50
기남 68
동희 30
for (let i = 0; i < bikes.length; i++) {
let name = bikes[i]['stationName']
let bike = bikes[i]['parkingBikeTotCnt']
if (bike < 1) {
console.log (name, bike)
}
}
161. 무악재역1번 출구 0
163. 명지전문대학교 정문 앞 0
176. 명지대학교 도서관 0
178. 증산3교 앞 0
192. 연서어린이공원 0
Javascript 에서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아 예시를 모두 적다보니 글이 길어지게 되었다. 그래도 강의를 듣는 것도, 숙제를 하는 것도, 또 이 글을 쓰는 것도 너무 즐거웠다. 이런 글을 쓰는 것 자체가 정말 오랜만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었는데 수업 중에 필기를 열심히 해둔 보람이 있다. velog 도 항상 읽기만 했었는데 마크다운 (markdown) 작성법도 찾아보고 사용해보니 더욱 보람차다. 이 글을 쓰느라 2주차 강의도 벌써 지각이지만, 이번 주도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