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000원을 지원해야 하며, 1,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d | budget | return |
---|---|---|
[1,3,2,5,4] | 9 | 3 |
[2,2,3,3] | 10 | 4 |
입출력 예 #1
각 부서에서 [1원, 3원, 2원, 5원, 4원]만큼의 금액을 신청했습니다. 만약에, 1원, 2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예산 9원에서 7원이 소비되어 2원이 남습니다. 항상 정확히 신청한 금액만큼 지원해 줘야 하므로 남은 2원으로 나머지 부서를 지원해 주지 않습니다. 위 방법 외에 3개 부서를 지원해 줄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3개 부서보다 더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으므로 최대 3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def solution(d, budget):
d = sorted(d)
limit = 0
count = 0
for v in d :
if limit <= budget and limit + v > budget:
return count
limit += v
count += 1
return count
문제의 핵심은 결국 '가장 많은 숫자'를 이용해 예산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숫자를 만드는 것입니다.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예산(budget)보다 부서가 요청한 신청금액이 작거나 같다.
- 예산(budget)보다 부서가 요청한 신청금액이 크다.
1번인 경우는 정말 쉽습니다. 모든 부서의 요청금액을 예산으로 커버가 가능하므로 단순하게 len(d)만 해도 구할 수 있죠
문제는 2번입니다. 2번의 경우엔 최대한 많은 숫자를 쓰기 위해선 가장 작은 숫자들로부터 조합을 해야합니다. 그래서 우선 sorted()를 사용해 오름차순으로 배열합니다.
합산액(limit)과 개수(count)를 변수로 설정해 합산액에 따른 개수를 카운팅을 해줍니다.
2번의 경우, budget을 넘기 직전에 합산액에 쓰여진 숫자의 개수를 리턴하면 됩니다. 그 시점은 현재는 limit(합산액)이 현재는 넘지 않지만 지금 for문에서 요소를 더하면 넘는 시점이므로 이를 조건문으로 씁니다.
바로 그 시점에 놓여진 count(숫자의 개수)를 return하면 답이됩니다.
def solution(d, budget):
d.sort()
while budget < sum(d):
d.pop()
return len(d)
역발상이네요. 앞에서부터 합산하면서 더하는게 아니라 뒤에서부터 예산이 budget보다 작아질 때까지 pop을 통해 뒤에 배치된(큰 숫자들)숫자들을 while문으로 차례차례 제거해줍니다.
이 로직은 경우의 수를 두개로 나눌 필요가 없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로직도 단순하고 이해도 쉽게 되네요. pop이란 메서드를 사실 remove나 del에 비해 안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 활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