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TIL
How to debug
기존 작성 글과 별개로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기로 함.
Trial & Error
1874
얼마전 배열로 스택 구현하면서 사용했던
"Index를 나타내는 변수를 관찰 및 조작"하는 방식으로 접근.
Searched Why should one debug & How to debug
4949
얼마전에 다루었던 괄호 문제처럼 스택을 사용하기로 함.
1002
두 점 사이의 거리와 반지름과의 관계 파악
TIL 시리즈 새롭게 구성
1874
먼저 배열로 관찰 및 조작을 통해 해결한 다음, 팀원의 접근법(스택 내부에 집중)을 시도하고 이해함.
InteliJ에서 디버깅을 통해 특정 시점에서 변수의 값을 확인함.
4949
, 1002
미완료
지금까지는 검색한 결과들이 휘발되지 않도록 모아두는 것을 목적으로 글을 작성했지만,
앞으로는 TIL 시리즈를 통해 생각하는 과정 또한 기록해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