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hyuckhoon.ko·2023년 7월 5일
0

TIL

목록 보기
60/69

1. DHCP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은 일종의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인 것을 보니 서로 다른 노드간 네트워크 통신에 있어 약속이 필요하단 것이다. 망을 사용하는 여러 클라이언트들이 많을 것이다. DHCP 서버는 각 노드에 IP를 할당해주고 해제하는 등 기기들의 IP를 자동으로 관리한다.

2. 왜 사용할까?

DHCP 서버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각 개인이 네트워크 설정에 들어가 직접 중복되지 않은 IP를 잘 입력해야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IP가 만료됐다면, 다시 직접 IP를 재할당 받아야 한다.

3. IP 자동 할당 방식

1) 동적 할당(Dynamic allocation)

리스 개념이 등장한다.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IP를 부여한다.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request-and-grant 프로세스를 통해 할당받은 IP가 만료됐는지 검증한다.

2) 자동 할당(Automatic allocation)

위의 Dynamic allocation과 유사하지만,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고 있던 과거 IP 주소를 그대로 할당해준다. 즉, 동일 클라이언트에 동일 IP를 부여한다.

3) 수동 할당(Manual allocation)

Static DHCP allocation, fixed address allocation, reservation, MAC/IP 라고도 한다.
클라이언트를 유닉크한 값인 MAC 주소로 판별하고, 고유한 식별자를 IP 주소에 수동 할당한다.

4. 참고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e6-TaH5bkj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