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철의 <2019 멋쟁이 사자처럼에서 진행하는 python 강의> 수강 내용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7Jt0R1Ai2ynmSkarAWLUVkS3ld9uDTMc
print
는 콘솔에 우리가 입력한 데이터를 출력해줍니다. 직접 따라 쳐 보며 결과를 확인해봅시다.
print("멋쟁이 사자처럼")
print(1+2)
banjang = "강민철"
print("우리반 반장 이름은", banjang)
banjang = "김아영"
print("우리반 반장 이름은", banjang)
banjang
이라는 변수를 만들어 문자열을 집어넣습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 줄에서 print를 이용해 banjang
를 가져와 사용합니다. 직접 코드를 작성해서 결과값을 확인해보세요!
변수에 직접 데이터를 넣어볼까요?
banjang = input()
print("우리반 반장 이름은", banjang)
input()
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게 해줍니다.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해보세요.
number1 = input("첫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number2 = input("두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print(number1 + number2)
결과값이 잘 나오나요? 두개의 숫자가 더해지길 바랬는데, 나란히 붙여서 출력될겁니다. 왜 이런일이 벌어질까요?
컴퓨터가 데이터를 구분하는 방식은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뉩니다. 이런걸 데이터 타입(자료형)
이라고 부르는데 그냥 컴퓨터가 들어오는 데이터를 문자로 생각하는 경우와 숫자로 생각하는 경우 두가지로 나뉜다고 보시면 됩니다.(사실 더 복잡하게 인식하는데 몰라도 되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덧셈뺄셈 같은 사칙연산을 하려면 숫자를 가지고 진행해야하는데, 위의 예제에서 우리는 '숫자'라고 적었지만 컴퓨터가 '문자'로 인식했기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숫자의 합을 얻을 수 없었던 겁니다.
number1 = int(input("첫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number2 = int(input("두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print(number1 + number2)
그래서 input으로 받은 데이터를 컴퓨터에게 '야 이거 숫자야'라고 알려주는 단계가 필요해집니다. 이때 사용하는 게 int()입니다. 직접 실행해보세요.
import math #누군가 작성해놓은 math라는 코드를 사용할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math.ceil(1.5) #요렇게 하면 올림을 할 수 있죠.
나중에 배우겠지만 import
는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파이썬 코드들을 사용할 수 있게 불러오는 명령어입니다.
math
에 대한 설명은 아래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이런걸 패키지 혹은 모듈 이라고 부르며 각 패키지 마다 사용설명서같은 것들이 있으니 그때그때 검색해서 활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