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개강내 구성성분 (Monro-Kellie doctrine)
- 경막 (Dura mater)
- 지주막 (Archnoid mater)
- 연막 (Pia mater)
- 뇌혈관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8b348756-0b66-4fe7-a859-e17e4322f745/image.png)
경동맥과 척추동맥이 만나는 Circle of Willis 때문에 뇌경색이 쉽게 잘 안온다. 상호 보완
2. 뇌의 기능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a4c8f0b0-c5df-44f4-9b32-492240d3e538/image.png)
- 전두엽: 명령, 인지, 분석, 기억, 판단, 계획, 감정, 동작
- 두정엽: 감각, 언어
- 측두엽: 말하기, 듣기, 감정, 행동, 계산, 공간, 기억력
- 후두엽: 시각
- 소뇌: 균형감각
- 뇌간: 숨쉬기, 혈압, 맥박, 삼키기
3. 각과의 특성
- 신경과: 내과적 치료, 약물치료
뇌경색, Alzheimer, Parkinson
- 신경외과: 주로 수술적 치료
뇌출혈, brain tumor
- 응급의학과: 응급실에 온 환자 치료 및 각과 연계, 아스피린 tPA 처방
- 영상의학과: MRI, CT 영상을 판단, 차트를 주로 참고함
4. 신경영상 (Neuroimaging)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6af38d23-1792-432c-892b-1ec327b0e49f/image.png)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16332613-259d-4096-8bd1-4c430f3309f0/image.png)
4.1 CT: 뇌출혈, 머리외상, 두개골 골절
- 장점: 빠른검사, 두개골 골절을 진단
- 단점: 뇌실질을 자세히 볼 수가 없다
4.2 MRI: 뇌경색, 뇌종양
- 장점: 방사능 조사가 없다.
- 단점: 시간이 오래걸린다.
4.3 혈관조영술 (Angiography): 뇌경색, 뇌혈관 질환
- 장점: 검사와 시술을 동시에
- 단점: 검사 중 신경학적 합병증 (뇌출혈, 뇌경색)
5. 질환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eb4aadbe-330c-4f53-b4a1-16a7f28314a5/image.png)
5.1 Traumatic (외상성)
5.1.1 EDH (Epidural hematoma, 경막외 혈종)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a37deb1c-12cd-414c-9303-2321b69ccd30/image.png)
- 고령자, 영아는 드물다
- 주로 골절과 동반
- 의식 명료기
- 수술 시 예후가 좋다
- CT에서 볼록렌즈 모양처럼 보인다
5.1.2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 고령에서 잘 발생, 교통사고, 추락사고
- 사망률 50%
- 빠른 수술로 환자 예후가 결정되며 대게 예후가 안 좋다.
- CT 상 초승달 모양
5.1.3 Hemorrhagic contusion (타박상)
- 뇌좌상, 뇌에 멍
- 뇌조직이 두개골과 부딪쳐서 발생
- 대부분 저절로 흡수된다
- 주로 전두엽, 측두엽에 발생
5.2 Spontaneous (자발성)
5.2.1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2da3e6ee-94eb-4772-8a09-bf2aebe39e1a/image.png)
- 고혈압, 항혈소판제제, warfarin 등이 원인
- 의식저하, 마비, 동공반사 감소
- 출혈양이 많을 경우 수술적 치료, 적을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
- 중환자실 입원기간중에는 혈압을 조절 하여서 재출혈이 발생하지 않게 주의
5.2.2 IVH (Intraventricular hemorrhage, 뇌실내출혈)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5f3f1304-fdbb-432c-a8f9-6e9ac61510c8/image.png)
- 고혈압, 뇌내출혈이 뇌실로 흘러들어감
- 의식저하, 마비, 동공반사 감소
- 출혈양이 많을 경우 수술적 치료, 적을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
- 중환자실 입원기간중에는 혈압을 조절 하여서 재출혈이 발생하지 않게 주의
5.2.3 SAH (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출혈)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6e569b09-debc-4477-82b8-0d7adc062b9f/image.png)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4bd71e25-1fc8-4a28-9ebe-cf44f35ccb6e/image.png)
- 깨질듯한 두통
- 뇌수막 자극증상
- 의식저하
- Clipping (개두술), Coiling (혈관조영술)
- 터지기 전까지 증상을 파악하기 힘들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5.2.4 Ischemic
![Untitled](https://velog.velcdn.com/images/khp3927/post/4de13549-b1e1-47cc-908b-dc4bf7386931/image.png)
- Thrombogenic (혈전)
- Embolic (색전)
- Hemorrhagic stroke와 비교했을 떄 9:1 비율로 더 많이 발생한다
- 언어장애, 마비, 안면마비 등 발생
- 뇌에 혈액량 감소로 인하여 발생, 혈관의 협착 막힘 등이 원인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죽상동맥경화증, 부정맥, 혈전 등이 원인
- 4시간 반 이내 tPA, 8시간 이내 M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