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후기 (2주차) - Virtual DOM을 직접 만들어 보자

헤욤이·2024년 12월 29일
17
post-thumbnail

들어가면서

이번 주 과제는 역대급으로 어렵다고 학습메이트님이 여러 번 말씀하셨는데... 그 말은 사실이었다 ㅠㅠ

제목 그대로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Virtual DOM을 직접 만들어 보기! 솔직히 말로만 들었지 그걸 직접 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했다.

과제의 의도는 Virtual DOM을 직접 구현해 보면서 리액트의 작동 원리와 렌더링 과정을 깨우치는 거였는데,

결과적으로는 리액트가 왜 필요한지, Virtual DOM의 정체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처음에는 막막했던 과제였지만, 이를 통해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개념을 직접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었던 값진 시간이었다.

두 번째 멘토링 후기

저번 주처럼 이번 주차에도 멘토링이 진행되었는데, 우리 조는 테오 코치님으로 예약했다.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과정에서는 1주일에 한 번 멘토링을 받고 싶은 코치님을 선택해, 한 시간 동안 과제와 커리어에 대한 조언을 들을 수 있다 :)

1주차의 오프 코치님 멘토링 때는 개발 공부 방향성과 학습할 때의 태도에 대한 질문을 했었다. 워낙 만족스러웠기에 이번 멘토링도 기대가 되었다.

그런데 테오 코치님이 생각보다 더 어마어마한(?) 자료들을 준비해 오셨고, 결국 원래 예정된 멘토링 시간보다 한 시간이나 더 상담을 해 주셨다. 커리어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부터 이번 주 과제에 대한 조언까지, 내용이 정말 알차서 팀원들의 만족도도 대단했다.

중간에 '이번 주 과제를 통해 알게 된 점'을 작성할 때, 테오 코치님이 팀원 한 명 한 명한테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설명하라고 한 적이 있다.

그런데 면접을 보고 발표를 한 지가 너무 오래되어서인지 이미 안다고 생각하는 것조차 설명하기가 힘들었다 (ㅠㅠ).


테오 코치님은 팀원 중 한 명과 짝을 지어주면서, 서로 설명하는 연습을 해 오라는 미션까지 내 주셨다.

이직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설명하기, 말하기 연습을 게을리하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내용을 제대로 흡수했다면 설명하는 건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닌데 말이다. 핵심은 내가 아직 이것들을 자신 있게 가르쳐줄 정도로 개념을 확실히 파악하지 못했다는 것 같다.

어쨌든, 나 같은 주니어 개발자들은 선배 개발자들의 코칭을 듣기 위해서는 강연에 참석하거나 개발자 컨퍼런스에 가야 한다. 그마저도 일대 다 형식의 발표 위주라 개인적으로 상담을 받을 기회는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과정에서는 1주일에 한 번씩 실력자 개발자 선배한테, 그것도 개인적인 고민에 대해서 상담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솔직히 말하면 이것만으로도 항해 플러스 과정을 들을 가치는 충분하지 않은가 싶다.

2주차 과제 WIL

Virtual DOM 이해하기

Virtual DOM을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뭘 해야 된다? 일단 가상 돔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 Virtual DOM이 무엇인가?

    Virtual DOM은 실제 DOM의 가벼운 복사본이다.

  • 그럼 DOM은 뭔데?

    DOM이란, 웹 페이지를 객체를 계층구조로 표현한 일종의 설계도이다. 자바스크립트는 DOM을 조작해 브라우저에게 변경사항을 알리고, 브라우저는 이를 기반으로 실제 화면을 렌더링한다.

  • 그렇다면 도대체 왜 DOM의 복사본이 필요한 걸까?

    DOM 조작에는 큰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DOM이 변경될 때마다 브라우저는 레이아웃을 다시 계산하고(reflow) 화면을 다시 그리는(repaint)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잦은 DOM 조작은 성능 저하를 일으킨다.

  • DOM 복사본인 Virtual DOM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

    1. 상태 변경이 일어나면 우선 Virtual DOM에 새로운 UI를 렌더링한다 (메모리에서만 발생)
    2. 이전 Virtual DOM과 새로운 Virtual DOM을 비교한다 (diffing)
    3. 실제로 바뀐 부분만 찾아낸다
    4. 바뀐 부분만 실제 DOM에 적용한다 (reconciliation)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Vitual DOM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함수들이 필요할까?

그 다음으로는 Virtual DOM을 만들기 위한 과정과 필요한 함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createVNode 함수

Virtual DOM의 노드를 생성하는 기초 함수
type(태그 이름), props(속성), children(자식 요소들)을 받아서 객체 구조로 만듦

export function createVNode(type, props, ...children) {
  // children 배열을 평탄화하고 정리
  const flattenedChildren = children
    .flat(Infinity)
    .filter((child) => child != null && child !== false && child !== true);

  // props가 null이면 빈 객체로 초기화
  const normalizedProps = props || null;

  // vNode 객체 생성
  return {
    type,
    props: normalizedProps,
    children: flattenedChildren,
  };
}
  • 노드란? UI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를 나타내는 JS 객체.
    예를 들면 이런 HTML이 있다고 할 때 :
<div class="container">
    <h1>제목</h1>
    <p>내용</p>
</div>
  • 이것을 Virtual DOM의 노드로 표현하면 이렇게 된다.
{
    type: 'div',
    props: { className: 'container' },
    children: [
        {
            type: 'h1',
            props: {},
            children: ['제목']
        },
        {
            type: 'p',
            props: {},
            children: ['내용']
        }
    ]
}
  • type: HTML 태그 이름 ('div', 'p', 'span' 등)
  • props: 요소의 속성들 (class, id, style 등)
  • children: 자식 요소들의 배열

normalizeVNode

  • Virtual DOM 노드를 일관된 형태로 표준화
  • 다양한 입력 타입(null, 문자열, 숫자, 함수 등)을 처리
  • 재귀적으로 작동해서 모든 자식 노드도 표준화
  • 렌더링 전에 데이터 구조를 일관되게 만드는 게 목적
export function normalizeVNode(vNode) {
  // 기본 타입 처리
  const isNullOrBoolean = (value) =>
    value == null || typeof value === "boolean";
  const isPrimitive = (value) =>
    typeof value === "string" || typeof value === "number";
  const isFunction = (value) => typeof value === "function";
  const isComponent = (value) =>
    value && typeof value === "object" && isFunction(value.type);

  // 빈 값 처리
  if (isNullOrBoolean(vNode)) {
    return "";
  }

  // 원시 타입 처리
  if (isPrimitive(vNode)) {
    return String(vNode);
  }

  // 함수형 컴포넌트 직접 호출 케이스
  if (isFunction(vNode)) {
    return normalizeVNode(vNode());
  }

  if (vNode && typeof vNode === "object") {
    // 함수형 컴포넌트 객체 케이스
    if (isComponent(vNode)) {
      const props = {
        ...vNode.props,
        children: vNode.children,
      };
      return normalizeVNode(vNode.type(props));
    }

    // children 정규화
    const normalizedChildren = normalizeChildren(vNode.children);

    return {
      type: vNode.type,
      props: vNode.props,
      children: normalizedChildren,
    };
  }

  return vNode;
}

// children 정규화
function normalizeChildren(children) {
  const childArray = Array.isArray(children) ? children : [];
  return childArray
    .map((child) => normalizeVNode(child))
    .filter((child) => {
      const isEmptyValue =
        child === null ||
        child === undefined ||
        child === false ||
        child === "";
      return !isEmptyValue;
    });
}
  • 함수 컴포넌트를 createVNode, normalizeVNode에 통과시킨 예시
// 함수 컴포넌트
const Welcome = () => createVNode('h1', null, '안녕하세요!');

// 이 함수를 createVNode로 생성한 Virtual DOM
const vNode = createVNode('div', null,
    Welcome,  // 아직 실행되지 않은 함수
    '다른 내용'
);

// createVNode 결과: 
{
    type: 'div',
    props: {},
    children: [
        () => ({ type: 'h1', props: {}, children: ['안녕하세요!'] }),  // 아직 함수
        '다른 내용'
    ]
}

// normalizeVNode를 통과하면 함수가 실행됨
// normalizeVNode 결과:
{
    type: 'div',
    props: {},
    children: [
        { type: 'h1', props: {}, children: ['안녕하세요!'] },  // 함수가 실행되어 실제 노드로
        '다른 내용'
    ]
}

createElement

  • Virtual DOM 노드를 실제 DOM 요소로 변환
  • 노드 타입에 따라 다르게 처리(텍스트, 요소, 프래그먼트 등)
  • props를 실제 DOM 속성으로 변환
  • 자식 요소들을 재귀적으로 생성
// 속성 업데이트 함수 (이벤트 처리 제외)
function updateAttributes($el, props) {
  if (!props) return;

  Object.entries(props).forEach(([key, value]) => {
    if (key === "className") {
      $el.className = value;
    } else {
      $el.setAttribute(key, value);
    }
  });
}

// vNode를 실제 DOM으로 변환하는 함수
export function createElement(vNode) {
  // null, boolean 처리
  if (vNode == null || typeof vNode === "boolean") {
    return document.createTextNode("");
  }

  // 문자열이나 숫자는 텍스트 노드로
  if (typeof vNode === "string" || typeof vNode === "number") {
    return document.createTextNode(String(vNode));
  }

  // 배열은 DocumentFragment로
  if (Array.isArray(vNode)) {
    const fragment = document.createDocumentFragment();
    vNode.forEach((child) => fragment.appendChild(createElement(child)));
    return fragment;
  }

  // 실제 DOM 요소 생성
  const $el = document.createElement(vNode.type);
  updateAttributes($el, vNode.props);

  // 자식 요소들 처리
  if (vNode.children) {
    vNode.children.forEach((child) => {
      $el.appendChild(createElement(child));
    });
  }

  return $el;
}
// createElement 실행 후 생성되는 실제 DOM:
<div class="container">
    <header class="header">
        <h1>제목</h1>
    </header>
    <main>
        <p>내용 1</p>
        항목 1
        항목 2
        <p>내용 2</p>
    </main>
</div>

updateElement

  • 이전 Virtual DOM 트리와 새로운 Virtual DOM 트리를 비교
  • 실제로 변경된 부분만 찾아내서 최소한의 실제 DOM 업데이트 수행
import { addEvent, removeEvent } from "./eventManager";
import { createElement } from "./createElement.js";

function updateAttributes(target, originNewProps, originOldProps) {
  const newProps = originNewProps || {};
  const oldProps = originOldProps || {};

  // 이전 속성 제거
  Object.keys(oldProps).forEach((key) => {
    if (key.startsWith("on")) {
      const eventType = key.slice(2).toLowerCase();
      if (oldProps[key]) {
        removeEvent(target, eventType, oldProps[key]);
      }
    } else if (!(key in newProps)) {
      if (key === "className") {
        target.className = "";
      } else {
        target.removeAttribute(key);
      }
    }
  });

  // 새로운 속성 추가/업데이트
  Object.entries(newProps).forEach(([key, value]) => {
    if (oldProps[key] === value) return;

    if (key.startsWith("on") && typeof value === "function") {
      const eventType = key.slice(2).toLowerCase();
      if (oldProps[key]) {
        removeEvent(target, eventType, oldProps[key]);
      }
      addEvent(target, eventType, value);
    } else if (key === "className") {
      target.className = value;
    } else {
      if (value === false || value === null || value === undefined) {
        target.removeAttribute(key);
      } else {
        target.setAttribute(key, value);
      }
    }
  });
}

export function updateElement(parentElement, newNode, oldNode, index = 0) {
  // 노드가 모두 없는 경우
  if (!oldNode && !newNode) {
    return;
  }

  // 이전 노드만 있는 경우 (삭제)
  if (oldNode && !newNode) {
    parentElement.removeChild(parentElement.childNodes[index]);
    return;
  }

  // 새로운 노드만 있는 경우 (추가)
  if (!oldNode && newNode) {
    parentElement.appendChild(createElement(newNode));
    return;
  }

  // 둘 다 텍스트 노드인 경우
  if (typeof newNode === "string" || typeof newNode === "number") {
    if (oldNode !== newNode) {
      const newTextNode = document.createTextNode(String(newNode));
      parentElement.replaceChild(newTextNode, parentElement.childNodes[index]);
    }
    return;
  }

  // 노드 타입이 다른 경우
  if (newNode.type !== oldNode.type) {
    parentElement.replaceChild(
      createElement(newNode),
      parentElement.childNodes[index],
    );
    return;
  }
  // 속성 업데이트
  const element = parentElement.childNodes[index];
  updateAttributes(element, newNode.props, oldNode.props);

  // 자식 노드 비교 및 업데이트
  const newChildren = newNode.children || [];
  const oldChildren = oldNode.children || [];
  const maxLength = Math.max(newChildren.length, oldChildren.length);

  Array.from({ length: maxLength }).forEach((_, i) => {
    updateElement(element, newChildren[i] || null, oldChildren[i] || null, i);
  });
}

renderElement

  • 전체 렌더링 프로세스를 조정
  • Virtual DOM을 실제 DOM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관리
  • 이벤트 리스너 설정 포함 (현 포스팅에서는 생략)
import { createElement } from "./createElement";
import { normalizeVNode } from "./normalizeVNode";
import { updateElement } from "./updateElement";

const vNodeMap = new WeakMap();

export function renderElement(vNode, container) {
  // vNode를 정규화
  const normalizedNode = normalizeVNode(vNode);
  const currentVNode = vNodeMap.get(container);

  if (!currentVNode) {
    // 최초 렌더링
    container.innerHTML = "";
    const element = createElement(normalizedNode);
    container.appendChild(element);
  } else {
    // 업데이트: 변경된 부분만 업데이트
    updateElement(container, normalizedNode, currentVNode);
  }

  // 현재 vNode 저장
  vNodeMap.set(container, normalizedNode);
}
  • WeakMap을 사용해 container별로 현재 vNode를 저장
    메모리 관리를 위해 WeakMap 사용 (container가 사라지면 자동으로 정리 - container 요소가 더 이상 필요 없어서 제거되면 WeakMap에 저장된 관련 Virtual DOM 데이터도 자동으로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됨)

  • 렌더링 프로세스

  1. 먼저 vNode를 정규화
  2. 최초 렌더링인지 업데이트인지 구분
  3. 최초: createElement로 새로 생성
  4. 업데이트: updateElement로 변경된 부분만 업데이트

(참고) Map과 WeakMap의 차이

  1. 메모리 관리 방식
// Map의 경우
const regularMap = new Map();
let obj = { data: '데이터' };
regularMap.set(obj, '값');
obj = null;  // obj 참조를 제거해도
// regularMap에는 여전히 데이터가 남아있음

// WeakMap의 경우
const weakMap = new WeakMap();
let obj = { data: '데이터' };
weakMap.set(obj, '값');
obj = null;  // obj 참조를 제거하면
// weakMap에서도 자동으로 데이터가 정리됨
  1. 키(Key)로 사용할 수 있는 타입
// Map은 모든 타입을 키로 사용 가능
const map = new Map();
map.set('문자열',1);
map.set(42,2);
map.set(true,3);

// WeakMap은 객체만 키로 사용 가능
const weakMap = new WeakMap();
weakMap.set({ key: 'obj' },1);  // 가능
weakMap.set('문자열',2);        // 에러 발생!
  1. 순회 가능 여부
// Map은 순회 가능
const map = new Map();
map.set('키1', '값1');
map.set('키2', '값2');

for (let [key, value] of map) {
    console.log(key, value);
}

// WeakMap은 순회 불가능
const weakMap = new WeakMap();
// for...of 사용 불가
// keys(), values(), entries() 메서드 없음

결론:

Map: 모든 종류의 키를 사용, 데이터 유지, 순회 가능
WeakMap: 객체만 키로 사용, 자동 메모리 정리, 순회 불가능

용도:

Map: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할 때
WeakMap: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 관리가 중요할 때

동작 과정 정리

먼저 createVNode 함수로 Virtual DOM 노드를 생성한다. 이 함수는 HTML 구조를 JavaScript 객체 형태로 표현하는데, type(태그 이름), props(속성들), children(자식 요소들)을 받아서 하나의 객체로 만들어낸다.

생성된 Virtual DOM 노드는 normalizeVNode 함수를 통과한다. 이 함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값(null, 문자열, 숫자, 함수, 배열 등)을 일관된 형태로 정규화한다. 예를 들어 조건부 렌더링으로 인한 null값을 제거하고, 동적으로 생성되는 함수 컴포넌트를 실행하여 실제 노드로 변환한다.

정규화된 Virtual DOM은 createElement 함수를 통해 실제 DOM 요소로 변환된다. 이 함수는 Virtual DOM의 type에 따라 실제 DOM 요소를 생성하고, props를 적용하며, children을 재귀적으로 처리한다.

변경사항이 생기면 updateElement 함수가 이전 Virtual DOM과 새로운 Virtual DOM을 비교하여 실제로 변경된 부분만 찾아낸다. 이때 노드의 추가, 삭제, 수정을 각각의 경우에 맞게 처리하며, 특히 불필요한 DOM 조작을 최소화하기 위해 같은 타입의 노드는 속성만 업데이트하고, 자식 노드들은 재귀적으로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과정을 renderElement 함수가 관리한다. 이 함수는 WeakMap을 사용해 각 컨테이너의 현재 Virtual DOM 상태를 저장하고, 최초 렌더링인지 업데이트인지를 판단하여 적절한 함수를 호출한다. WeakMap을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제거될 때 관련된 Virtual DOM 데이터도 자동으로 정리되어 메모리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후기 (깨달은 점)

1.리액트는 정말 성능이 좋은가? 아니다. (과제를 하면서 깨달은 점)

하지만 우리는 왜 리액트를 쓸까?

그 이유는 유지보수와 개발 효율성 때문이다.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DOM을 직접 조작하면 코드가 복잡해지고, 상태 관리가 어려워진다. 리액트는 선언적인 방식으로 UI를 구성할 수 있게 해주고, 컴포넌트 단위로 코드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 겁나 편하고 직관적

2. Virtual DOM은 객체 덩어리

이번 과제를 통해 Virtual DOM이 생각보다 무서운 게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결국 JavaScript 객체의 덩어리이고, 이 객체를 효율적으로 비교하고 실제 DOM에 반영하는 것이 핵심이다. 브라우저가 렌더링하는 실제 DOM과 메모리상의 가상 DOM을 비교해서, 정말 필요한 부분만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3. 성능 최적화의 필요성

성능 최적화는 결국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는 게 핵심이다. Virtual DOM도 결국 JavaScript 객체를 비교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비교 작업 자체가 비용이다. 따라서:

  • 컴포넌트를 적절히 분리하여 필요한 부분만 리렌더링되게 하기
  • useMemo, useCallback 등의 메모이제이션 활용하기
  • 상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여 불필요한 리렌더링 방지하기

이런 최적화 기법들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다음 과제하고도 이어지는 내용..ㄷㄷ)
이번 과제를 통해 프레임워크의 내부 동작 원리를 이해하게 되었고, 이는 앞으로 리액트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번 과제는 혼자 힘으로 구현하지 못했다.

발제 자료부터 시작해서 수많은 구글링, 그리고 Claude의 도움까지 받아가며 간신히 테스트 코드를 통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던 Virtual DOM의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고, 실제 구현 로직까지 파고들 수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다음 주 발제와 과제는 리액트의 성능 최적화가 주제다.

이번 Virtual DOM 과제에서 배운 내용이 성능 최적화를 이해하는 데 좋은 기반이 될 것 같다. 시간이 넉넉히 주어진 만큼, 이번에도 최선을 다해 도전해봐야겠다!

profile
상상을 현실로

4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2월 30일

오오 제 메시지가 첨부되다니 영광이네요! (학습메이트)
리액트를 사용하는 이유가 한 단어로 쓰자면 생산성이라고 하였지만,
리액트의 어떤 점이 어떻게? 왜? 생산성을 증대해주는가?
후기 1번에 내용이 포함되어 있군요 ㅎㅎ

맵 자료형과 위크맵의 비교도 잘 봤습니다!!
다음 주차도 화이팅!!!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2월 31일

아주 재밌는 프로젝트같네요 잘 보고갑니다!
리액트가 key props까지 이용해서 변환 비용을 최적화 하는 이유가 있었네요 ㅎㅎ

1개의 답글